이 책은 풍수지리로 대한민국 주요 기관들의 입지를 조명해본다. 저자는 경복궁과 청와대는 주변 산수와의 관계가 부적절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리하여 삼청동과 용산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한다. 뿐만아니라 여의도 국회의사당, 서초동 법원단지, 과천 정부청사 등의 입지도 다시 살펴보고 있다. 풍수에 따른 지역 선정이 나라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한편 논란과 갈등을 겪어온 세종시의 입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외국의 도시들과 비교해 살펴보았으며, 몇몇 명문가의 사례와 추적에서 위대한 인물을 배출하는 명당을 통해 우리 산천의 소중함을 알리고자 하였다.
Contents
제1부
용어설명
할아버지 묘소와 로또 1등 당첨
정치인 출신의 풍수사
천년고찰 마곡사와 군왕대
어느 수맥전문가의 명당 처방
권세로 빼앗은 묘소
3代에 걸친 명당 찾기
중국풍수의 한 단면
풍수공부에 최적인 망우리
13명의 정승을 배출한 정난종 묘소
찬란한 광산김문의 뿌리를 찾아서
반남박씨의 저력을 찾아서
청풍김씨 묘역의 동기감응 추론
삼미그룹 창업자 묘소
현 풍수계의 몇가지 문제점
전두혼 前대통령 선영
제왕의 땅은 있는가?
화문산 오선위기
도선의 부도 탑에 담긴 대통합 사상
[1]천년을 물에 잠긴 유골
[2]史科에 나오는 도선의 풍수
[3]비보사탑의 사례
[4]백계산 절터와 도선부도탑의 관계
[5]맺음말
제2부
한민족의 세계문화 유산 고인돌
풍수인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한반도 대운하
계룡산 신도안과 위왕산
세종시 입지의 풍수적해석
[1]세종시 사업전개과정
[2]역사적도시의 지리적 특성
[3]세종시 지세
[4]결론
경복궁과 청와대 입지의 재조명
[1]경복궁 입지 선정의 역사
[2]경복궁과 청와대를 거쳐 간 인물들의 略史
[3]경복궁과 청와대 터에 대한 논쟁모음
[4]경복궁과 청와대 입지의 분석
[5]대안제시
[6]최종결론
[7]입법 사법 행정부 입지의 小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