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루스벨트가 미국 대통령 4기 취임식을 끝내고 크림반도의 얄타로 향하는 과정부터 시작하여 얄타에서 8일간에 걸쳐 미·영·소의 정상과 그 참모들이 치열하게 벌인 논의 과정에 초점을 맞춰 그려내고 있다. 총 7부 31장으로 구성된 내용에서 마지막 장은 얄타회담 직후 루스벨트의 죽음과 동서 진영의 위기 조짐, 그리고 포츠담회담을 서술했지만, 온전히 얄타회담만을 파고들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이라면 20세기 중반 한반도의 운명과 관련하여 너무나 익숙하게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협상이 전개되었는지는 잘 모르는 것이 얄타회담이다. 저자는 기밀문서와 공식 회의 자료 및 회담에 참석했던 사람들의 일기와 회고록을 바탕으로 얄타회담을 생생히 복원했다. 회의 장면은 때론 긴장감이 감돌아 숨 막히고, 때론 가시 돋친 말이 오가며, 논의가 안 풀릴 때는 분위기를 전환하려는 모습도 나타난다. 상대방의 관심을 고려하면서 밀고 당기기를 하는 모습이 흥미진진하다. 저자에 따르면 “루스벨트, 처칠, 스탈린,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사람들의 입에서 나온 말은 그들이 실제로 얘기했을 법한 말을 추정해 쓴 것”이고 “모든 자료를 활용해 이것을 재구성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실제로 루스벨트, 처칠, 스탈린의 대화가 오가는 장면은 당시의 녹취를 풀어내기라도 한 듯 현장감이 살아 있다.
Contents
【권두부록】 지도와 사진으로 보는 얄타회담
한국의 독자들에게
프롤로그
1부 작전명 아르고호
01 대통령의 여행 / 02 몰타 회동 / 03 차르의 앞마당 / 04 붉은 주인
2부 전사들의 정상회담
05 3거두의 재회 / 06 겨울 공세 / 07 독일 문제 / 08 전리품
3부 새로운 세계질서
09 UN 안전보장이사회 / 10 독일 총통의 그림자 / 11 발칸반도의 분할 / 12 폴란드 쟁탈전 /
13 “우크라이나인들은 무엇이라 말하겠는가?”
4부 외교관들의 체스판
14 UN의 표결 방식 / 15 폴란드 문제의 교착 상태 / 16 폭격선 / 17 극동 기습 /
18 “동맹국은 서로를 속이면 안 됩니다”
5부 타협의 바퀴
19 폴란드 포기 / 20 독일의 운명 / 21 해방된 유럽과 발칸 거래 / 22 이란, 터키, 제국 /
23 비밀 협정 / 24 전쟁 포로
6부 얄타 정신
25 최후의 만찬 / 26 결승점 통과 / 27 희망의 날들
7부 다가오는 폭풍
28 갈등의 조짐 / 29 스파이 전쟁 / 30 스탈린의 밀어붙이기 / 31 루스벨트 이후
에필로그
감사의 말 / 역자 후기 / 미주 / 찾아보기
【권말부록】 주요 등장인물
Author
세르히 플로히,허승철
1957년 옛 소련 고리키(현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태어났다. 드니프로페트롭스크대학(University of Dnipropetrovsk)을 졸업한 뒤 1990년 타라스 셰브첸코 키예프국립대학에서 국가박사학위(Habilitation degree)를 받았다.
1983~1991년 드니프로페트롭스크대학에서 강의하다가 1991년 캐나다로 이주하여 앨버타대학교 역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200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미하일로 흐루솁스키 석좌교수에 임명되었다. 강의와 저술을 병행하여 러시아·우크라이나 역사에 관한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2015년 우크라이나어로 쓰인 뛰어난 문학작품과 연구에 주는 안토노비치 상(Antonovych prize)을 수상하고, 2018년에는 『체르노빌』로 최고의 논픽션 작가에게 주는 베일리 기포트 상(Baillie Gifford Prize, 사무엘 존슨 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술로는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The Last Empire(Basic Books, 2014); The Gates of Europe(Basic Books, 2015); Lost Kingdom(Basic Books, 2017); Chernobyl: History of a Tragedy(Basic Books, 2018) 등이 있다.
1957년 옛 소련 고리키(현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태어났다. 드니프로페트롭스크대학(University of Dnipropetrovsk)을 졸업한 뒤 1990년 타라스 셰브첸코 키예프국립대학에서 국가박사학위(Habilitation degree)를 받았다.
1983~1991년 드니프로페트롭스크대학에서 강의하다가 1991년 캐나다로 이주하여 앨버타대학교 역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200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미하일로 흐루솁스키 석좌교수에 임명되었다. 강의와 저술을 병행하여 러시아·우크라이나 역사에 관한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2015년 우크라이나어로 쓰인 뛰어난 문학작품과 연구에 주는 안토노비치 상(Antonovych prize)을 수상하고, 2018년에는 『체르노빌』로 최고의 논픽션 작가에게 주는 베일리 기포트 상(Baillie Gifford Prize, 사무엘 존슨 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술로는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The Last Empire(Basic Books, 2014); The Gates of Europe(Basic Books, 2015); Lost Kingdom(Basic Books, 2017); Chernobyl: History of a Tragedy(Basic Books, 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