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신체의 정신·감각·지체 기능 손상은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일정 기능의 수행 능력을 어느 정도 제약하는, 하지만 치료되기 어려운 생물학적 결함을 지닌 채 살아가야만 하는 이들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하지만 어떤 결손의 의미는 언제나 그 생물학적 본질을 넘어선 무언가에 달려 있다는 것이 저자진의 논지다. 그 의미는 그것이 존재하게 되는 맥락, 즉 인간이 처한 상황에 의해 형성된다는 요지이다.
이 책은 문화적 맥락 내에서의 장애를 이야기한다. 저자들은 상이한 상황들 내에서 사람들이 손상을 이해하고 그에 반응하는 방식을 고찰한다. 손상이 그들의 삶의 전개, 그리고 가장 중요한 가치의 추구에 어떤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 질문하고, 장애와 관련된 개념들 및 관행들에서의 역사적 변화를 논한다. 저자진은 저술의 대상이 되는 지역사회 내에서 집중적 현장연구를 수행해, 그 결과물을 이 공동의 프로젝트에 담아냈다.
Contents
책머리에
서장 장애와 문화 - 수잔 레이놀스 휘테·베네딕테 잉스타
장애에 대한 보편적 정의?
유럽-미국적인 장애
차이와 인격
사회조직과 장애
사회적 처지와 장애
장애 해석 과정들의 분석
역사적 변환들
1부 장애, 우주론, 인격
1장 인격체와 비인격체 : 보르네오 중부 푸난바족 사이에서의 장애와 인격 - 이다 니콜라이센
푸난바족, 그들의 사회와 문화
몸의 이미지들과 장애
공간성과 가시성
인격과 장애
결론
2장 아이는 아이일 뿐이다 : 케냐 마사이족 사이에서의 장애와 평등 - 에우드 탈레
목축민 마사이족
누가 장애인인가?
질병과 장애에 관한 신념
파멜레우: 저주의 사례
장애인의 치료와 장애인에 대한 태도
차이들 내에서의 정상성
4장 왜 장애인이 되었나? : 한 아프리카 사회에서의 신체적 장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 - 파트리크 데블리허르
신체적 장애와 사회적 지위
송게족 사회에서의 장애에 대한 대처
문화에 의해 형성되는 장애 이슈들
물리적 환경
마법
조상들
신부대
신
결론
5장 병든다는 것 그리고 나를 찾는 것 : 다발성경화증 내러티브 속에서의 자아, 몸, 시간 - 주디스 멍크스·로널드 프랑켄버그
연구의 배경
초기
중기
말기
장애인의 삶에 대한 전범으로서의 라이프스토리와 질환 내러티브들
결론
2부 장애의 사회적 맥락
6장 사회적 만남들 : 미국 사회의 침묵하는 몸 - 로버트 머피
7장 눈이 보이는 애인과 맹인 남편 : 우간다에서 맹인 여성들의 경험 - 나인다 센툼브웨
문제의 정의
맹에 대한 인식
맹인의 취약성
지속되는 병자 역할
우간다 여성의 가사 역할
성교 및 부부관계
맹인 여성들의 성교 및 결혼 기회
섹슈얼리티와 가정생활에서의 사회관계들
유능한 우간다 여성의 예로서의 맹인 여성들
눈이 보이는 남성들과의 성적 관계가 갖는 사회적 함의들
결론
8장 재활에 대한 공적 담론들 : 노르웨이에서 보츠와나로 - 베네딕테 잉스타
노르웨이
보츠와나
재활담론들의 이전
9장 영웅, 거지, 또는 스포츠 스타 : 니카라과에서 장애인 정체성의 협상 - 프랑크 잘레 브룬
배경
혁명적 보건의료
산악지대로부터의 귀향
거지와 영웅에 대한 신문 기사들
장애 관련 단체들과 장애인 스포츠 스타들
영웅과 순교자들
결론
10장 장애와 이주 : 하나의 사례 이야기 - 리스베트 사크스
몇 가지 개념들
배경
서구 생의학과의 맞닥뜨림
되네의 이야기
되네의 아들에 대한 터키인 이주자 마을 여성들의 견해
되네의 아들에 대한 스웨덴 의사들의 견해
결론
11장 간질의 문화적 구성 : 동아프리카에서의 이미지와 맥락들 - 수잔 레이놀스 휘테
하나의 문화적 범주로서의 간질
벌레와 오염에 대하여
원인과 치료법들
간질의 사회적 맥락
우리의 개념과 그들의 경험
12장 음포 야 모디모 - 신으로부터의 선물 : 장애인을 향한 ‘태도’에 대한 조망 - 베네딕테 잉스타
신화의 형성
장애아동의 어머니라는 처지에 있는 인류학자
보츠와나
태도라는 개념
결론
종장 담론과 경험 사이에서의 장애 - 수잔 레이놀스 휘테
장애의 서구적 구성
종족-기형학: 이례적인 것에 대한 담론
불운으로서의 차이: 원인에 대한 담론
엘리펀트맨의 교훈
경험과 표상
현지조사, 담론,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