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근·현대 사상가들의 자연에 관한 사유의 궤적을 추적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여기서 다루는 대상은 17세기에서 21세기에 걸친 총 10명의 사상가들이다. 환경사상이 태동한 것이 낭만주의 시기이긴 하지만 그 이전의 사상가들에게서도 선구적 시각을 발견할 수 있기에 낭만주의 이전 시기의 사상가들도 일부 포함하였다. 이 책에서 다룬 사상가들의 공통적 특징은 자연에 관한 깊은 사유를 통해 미래를 예견하고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혜안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누구든지 이들의 관점과 통찰력을 깊이 이해한다면 이 시대가 직면한 최대 과제인 환경적 아포리아를 넘어서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지은이의 말 ─5
1장 환경사상이란 무엇인가? 19
1. 환경사상과 환경철학·환경윤리학의 관계 ─19
2. 환경사상의 의의 ─22
3. 자연관의 흐름 ─25
4. 환경사상의 간략한 흐름 ─37
생각해 볼 문제 ─60
2장 르네 데카르트
기계론적 자연관은 자연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61
1. 데카르트의 자연관을 들여다보는 이유 ─61
2. 데카르트철학의 기초 ─63
3. 데카르트의 자연관 ─69
4. 데카르트 자연관의 형성 배경과 영향 그리고 대안 ─78
5. 요약 ─98
생각해 볼 문제 ─102
3장 존 로크
자연은 순전히 이용 대상에 불과한 것인가? 103
1. 로크의 자연관을 들여다보는 이유 ─103
2. 로크철학의 기초 ─105
3. 로크의 자연관 ─110
4. 로크의 자연관에 관한 고찰과 그 의의 ─118
5. 요약 ─134
생각해 볼 문제 ─137
4장 이마누엘 칸트
자연의 최종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139
1. 칸트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139
2. 칸트철학에서의 인간중심주의적 요소 ─142
3. 칸트철학에서의 비인간중심주의적 요소 ─146
4. 칸트철학에서 엿볼 수 있는 친환경적 시사점 ─162
5. 요약 ─173
생각해 볼 문제 ─177
5장 한스 요나스
맑스주의는 자본의 독주를 제어할 수 있는가? 179
1.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을 들여다보는 이유 ─179
2. 요나스가 맑스주의를 문제 삼게 된 계기 ─183
3.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 ─185
4.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고찰 ─197
5. 요약 ─216
생각해 볼 문제 ─220
6장 아르네 네스
‘타자 속에서 자신을 발견한다’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 221
1. 네스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221
2. 네스의 삶과 사상 ─225
3. 교육적 시사점과 그 한계 ─240
4. 요약 ─254
생각해 볼 문제 ─258
7장 존 패스모어
‘보전’ 개념에는 대체 어떤 도덕적 문제가 얽혀 있는가? 259
1. 패스모어의 『자연을 위한 인간의 책임』을 들여다보는 이유 ─259
2. 패스모어 환경사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262
3. ‘보전’ 개념에 함의된 도덕적 문제 ─266
4. ‘보전’ 개념에 함의된 도덕적 문제에 관한 논의 ─268
5. 패스모어의 주장에 대한 정당성 검토 ─285
6. 요약 ─294
생각해 볼 문제 ─297
8장 개릿 하딘
선진국 중심의 환경정책이 지니고 있는 한계는 무엇인가? 299
1. 하딘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299
2. 구명보트윤리의 등장 배경과 그 주장 ─304
3. 윤리학적 문제 ─311
4. 요약 ─322
생각해 볼 문제 ─325
9장 허먼 데일리 1
밀, 볼딩, 조제스쿠-뢰겐은 데일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327
1. 데일리와 세 명의 학자를 들여다보는 이유 ─327
2. 데일리 환경사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331
3. 데일리와 세 학자의 관계 ─335
4. 데일리 생태경제사상의 형성 배경 ─340
5. 요약 ─360
생각해 볼 문제 ─364
10장 허먼 데일리 2
정상상태경제론은 대체 무엇을 주장하는가? 365
1. 데일리의 주장을 들여다보는 이유 ─365
2. 정상상태경제의 개념 ─368
3. 정상상태경제의 요청 근거 ─373
4. 정상상태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 ─385
5. 요약 ─395
생각해 볼 문제 ─401
11장 J. 베어드 캘리콧
동물해방론과 대지윤리의 차이점은 어디에 있는가? 403
1. 캘리콧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403
2. 양극 대립이 아닌 3극 대립 ─408
3. 양극에 대한 비판과 대지윤리의 기본 원칙 ─411
4. 캘리콧이 옹호하는 대지윤리의 관점 ─417
5. 캘리콧의 주장에 대한 비판 ─424
6. 요약 ─433
생각해 볼 문제 ─439
12장 존 벨러미 포스터
자본주의는 생태사회주의로 대체되어야 하는가? 441
1. 포스터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441
2. 포스터의 환경론: 자본주의 비판론 ─445
3. 포스터의 환경론 비판: 생태사회혁명론 비판 ─456
4. 요약 ─472
생각해 볼 문제 ─477
수록글 출처 ─479
참고문헌─480
Author
김일방
경북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주대 강사, 한라대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는 제주대 사회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환경윤리란 무엇인가』, 『현대윤리에 관한 15가지 물음』(공역), 『삶, 그리고 생명윤리』(공역), 『모럴 아포리아』(공역)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환경윤리의 쟁점』, 『환경윤리의 실천』, 『생태문화와 철학』(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한스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고찰」,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 「허먼 데일리(Herman Daly)의 생태경제사상: 그 형성배경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경북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주대 강사, 한라대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는 제주대 사회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환경윤리란 무엇인가』, 『현대윤리에 관한 15가지 물음』(공역), 『삶, 그리고 생명윤리』(공역), 『모럴 아포리아』(공역)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환경윤리의 쟁점』, 『환경윤리의 실천』, 『생태문화와 철학』(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한스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고찰」,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 「허먼 데일리(Herman Daly)의 생태경제사상: 그 형성배경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