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그손과 생명의 시간

철학과 잠재성의 모험
$38.02
SKU
978897682682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7/22
Pages/Weight/Size 150*220*22mm
ISBN 9788976826824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베르그손과 생명의 시간: 철학과 잠재성의 모험』은 잠재성과 생명/삶 개념을 중심으로 베르그손을 독해하는 책이다, 『바이로이드적 생명』, 『싹트는 생명』과 함께 키스 안셀-피어슨의 ‘생명 철학’ 3부작 중 한 권으로 꼽히고 있다. 각각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는 일곱 개의 에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속, 진화, 목적성, 기억 등 베르그손의 사유에서 중요한 주제들을 쟁점 위주로 소개한다. 또한 베르그손과 대립하는 입장을 견지한 철학자들을 살펴봄으로써, 해당 주제에 대한 논쟁의 철학사적 맥락을 보여 준다. 플로티노스, 칸트에 대한 베르그손의 독해를 통해 다수성/다양체 및 목적성의 문제를 다루고, 베르그손에 대한 러셀과 바슐라르의 비판을 통해 연속성에 대한 베르그손의 입장을 명확히 드러낸다.
Contents
감사의 말 5
서문 7

1장 잠재적 다양체로서의 시간 29

서론 29 | 두 가지 다양체 40 | 수(數)의 시간 51 | 시간은 공간인가? 58 | 연속성에 관한 베르그손과 러셀의 입장 66 | 하나의 시간, 하나의 공간 75 | 지속의 존재론을 향하여 90 | 지속 전체 96

2장 ‘실재적인 것의 생명/삶’과 단일한 시간: 상대성 이론과 잠재적 다양체 107

파르메니데스에 대한 포퍼의 독해 110 | 변화의 문제 116 | 파르메니데스주의자로서 아인슈타인에 대한 포퍼의 독해 118 | 고대인들과 현대인들에 대한 베르그손의 독해 122 | 베르그손과 상대성 이론 135 | 포퍼와 베르그손의 만남 157 | 결론: 생명의 시간을 향하여 163

3장 지속과 진화: 생명의 시간 167

잠재적 다양체로서의 생명 171 | 가능한 것과 실재적인 것 176 | 다윈의 위험한 생각에 대한 데넷의 견해 187 | 베르그손주의에 대한 바슐라르의 입장 203 | 남겨진 문제들 209 | 결론 221

4장 단일 잠재성: 일자를 새롭게 사유하기 225

머리말 225 | 다원주의의 일자: 플로티노스에 대한 베르그손과 들뢰즈의 입장 229 | 생명의 차이에 관한 들뢰즈의 입장 246 | 결론 264

5장 사유의 이미지로서 생의 약동: 목적성에 대한 베르그손과 칸트의 입장 269

서론 270 | 칸트: 목적론의 문제 283 | 베르그손의 대응 288 | 베르그손과 목적성 303 | ‘생의 약동’의 이미지 313

6장 잠재적 이미지: 물질과 지각에 대한 베르그손의 입장 325

서론 326 | 모든 것은 이미지이다 333 | 관념론과 실재론 사이에서 345 | 유물론의 동일성 사유를 넘어 359 | 관념론을 넘어서 368

7장 기억의 존재와 자아의 시간: 심리학에서 잠재적인 것의 존재론으로 383

서론 384 | 심리학에서 존재론으로: 순수 기억에 대한 베르그손의 입장 393 | 잠재적 기억과 시간의 크리스탈-이미지 414 | 『차이와 반복』에서 순수 과거의 종합 427 | 시간의 깊이들 440 | 직선적 시간: 니체와 칸트 455 | 결론 470

참고문헌 473
옮긴이 후기 493
Author
키스 안셀-피어슨,정보람
1998년부터 워윅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3~2014년에 걸쳐 라이스대학교 인문학부 선임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최근 저서로 『베르그송 : 인간적 조건을 넘어 사유하기』(2018)가 있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발간하는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에 대한 새로운 비판전집의 공동 편집자이다. 대표작으로 『싹트는 생명 :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1999)과 『철학과 잠재성의 모험 : 베르그송과 생명의 시간』(2002), 『How to Read 니체』(2007)등이 있다.
1998년부터 워윅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3~2014년에 걸쳐 라이스대학교 인문학부 선임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최근 저서로 『베르그송 : 인간적 조건을 넘어 사유하기』(2018)가 있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발간하는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에 대한 새로운 비판전집의 공동 편집자이다. 대표작으로 『싹트는 생명 :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1999)과 『철학과 잠재성의 모험 : 베르그송과 생명의 시간』(2002), 『How to Read 니체』(2007)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