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 사회존재론』은 하이데거 존재사유를 ‘사회존재론’에 비추어 해석함으로써, 기초존재론에 대한 온전한 상을 제시하는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그동안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이해하기 위한 실존주의, 해체주의, 현상학, 해석학 그리고 불교 철학까지 많은 방법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분명했던 기초존재론의 핵심 개념들을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존재를 규정하는 ‘세계-내-존재’에서의 세계를 사회적 세계로 해석하는 사회존재론을 통해 우리는 이제까지 끊임없이 논란을 야기했던 문제, 하이데거 존재사유가 현존재(인간)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인간중심주의적인 근대 철학적 사유와 결별하는지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철학적 흐름 안에서 존재를 정교하게 사유하고, 현대사회의 개인주의에 침잠해가는 자신과 자신을 이루는 세계에 대해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3장 현존재의 세계와 사회적 공간 개념 477
1. 현상적 신체로서의 현존재의 신체 개념과 사회적 공간 개념 477
2. 도구의 공간성(사회적 공간)과 사물의 공간성(자연적 공간) 489
4장. 현존재의 사회적 자기성 개념 509
1. ‘존재가능’으로서의 현존재 자기성 개념 509
2. 현존재의 실천적 자기와 사회적 공동존재 522
5장 사회적 자기로서의 현존재의 비-본래적 자기와 본래적 자기 539
1. ‘그들’로서의 현존재의 자기성 539
2. 현존재의 비-본래성과 사회적 자기 554
3. 본래적 현존재의 ‘유일한 자기’(solus ipse)와 ‘질적 개인주의’ 565
4. ‘단일체’로서의 ‘유일한 자기’와 민족 공동체 591
5. 현존재의 ‘습속적 자기’(das sittliche Selbst)와
본래적인 ‘정황적 자유’(die befindliche Freiheit) 607
6장 사회적 현존재의 본질로서의 ‘염려’와 ‘인간적 인간’ 633
1. 사회적 현존재와 ‘염려’(Sorge) 633
2. 기초존재론에서 사회적 세계로서의 현존재의 세계 개념 645
3. 사회적 현존재와 인간적 인간(homo humanus) 661
나가는 말 677
참고문헌 689
찾아보기 696
Author
하피터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에서 현상학과 체육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롱비치주립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독일 현상학을 공부하기 위해 후설 아카이브가 있는 벨기에 루벤가톨릭대학교 철학과에서 하이데거에 관한 연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교 객원연구원을 거쳐, 한국현상학회 편집이사 및 한국 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후설 현상학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근대 철학적 문맥 속에서 폭넓게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근대 철학에서 사회존재론이 성립되는 과정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에서 현상학과 체육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롱비치주립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독일 현상학을 공부하기 위해 후설 아카이브가 있는 벨기에 루벤가톨릭대학교 철학과에서 하이데거에 관한 연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교 객원연구원을 거쳐, 한국현상학회 편집이사 및 한국 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후설 현상학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근대 철학적 문맥 속에서 폭넓게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근대 철학에서 사회존재론이 성립되는 과정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