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 슬라보예 지젝, 알랭 바디우, 자크 랑시에르, 테리 이글턴, 장-뤽 낭시, 안토니오 네그리 같은 사유의 거장들이 런던으로 모여들었다. 버크벡 대학교 인문학연구소가 주최한 “공산주의라는 이념” 콘퍼런스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주최 측에서는 애초에 200명 정도의 청중을 예상했으나, 결과적으로 1000명이 넘는 청중이 참석하여 공산주의가 21세기에도 여전히 뜨거운 화두임을 증명하였다.
프리즘총서 39권 『공산주의라는 이념』은 콘퍼런스 발표자들이 낭독한 내용을 최소한으로 편집하여 당시의 열기를 그대로 담아내고자 했다. “공산주의라는 이념” 콘퍼런스는 공산주의라는 기표를 악마화하는 것에서 벗어남으로써, 급진적 철학과 급진적 정치 사이의 강력한 연결고리를 재활성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은행에는 사회주의를, 빈자에게는 자본주의를 선물하는 시대에 이 책은 정치적 대안으로서의 공산주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Contents
들어가며 공산주의라는 이념 ― 슬라보예 지젝, 코스타스 두지나스 4
1장 공산주의라는 이념 ― 알랭 바디우 15
2장 현재에 현존하기. 공산주의 가설: 철학을 위한 가능한 가설, 정치를 위한 불가능한 이름? ― 쥐디트 발소 39
3장 좌익 가설: 테러 시대의 공산주의 ― 브루노 보스틸스 69
4장 두 번째는 희극으로… 역사적 화용론과 때맞지 않는 현재 ― 수전 벅모스 125
5장 아디키아: 공산주의와 권리들에 대하여 ― 코스타스 두지나스 149
6장 공산주의: 리어인가 곤잘로인가? ― 테리 이글턴 185
7장 ‘지성의 공산주의, 의지의 공산주의’ ― 피터 홀워드 205
8장 공산주의에 있어서 공통적인 것 ― 마이클 하트 239
9장 공산주의, 단어 ― 장-뤽 낭시 263
10장 공산주의: 개념과 실천에 관한 몇 가지 사유들 ― 안토니오 네그리 289
11장 공산주의 없는 공산주의자들? ― 자크 랑시에르 307
12장 문화대혁명은 공산주의를 끝냈는가? 오늘날의 철학과 정치에 대한 8가지 논평 ― 알레산드로 루소 327
13장 추상화의 정치: 공산주의와 철학 ― 알베르토 토스카노 353
14장 약한 공산주의? ― 잔니 바티모 371
15장 처음부터 시작하는 방법 ― 슬라보예 지젝 377
부록 논쟁 중인 우리의 장래: 현대 중국에서의 지적 정치 ― 왕후이 407
찾아보기 433
지은이 소개 443
옮긴이 소개 447
Author
슬라보예 지젝,코스타스 두지나스,마이클 하트,강길모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질 들뢰즈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듀크 대학의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탈리아의 자율주의 사상을 미국에 소개하며, 여러 자율주의 사상가들의 책을 번역했다. 네그리와 함께 『디오니소스의 노동』, 『선언』, 『제국』, 『다중』, 『공통체』 등을 썼다. 주요 저서로 『들뢰즈 사상의 진화』, 『네그리 사상의 진화』, 『토머스 제퍼슨』 등이 있다.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질 들뢰즈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듀크 대학의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탈리아의 자율주의 사상을 미국에 소개하며, 여러 자율주의 사상가들의 책을 번역했다. 네그리와 함께 『디오니소스의 노동』, 『선언』, 『제국』, 『다중』, 『공통체』 등을 썼다. 주요 저서로 『들뢰즈 사상의 진화』, 『네그리 사상의 진화』, 『토머스 제퍼슨』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