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시장의 해부

도시 하층과 비정규직 노동의 역사
$27.32
SKU
978897682634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9/10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88976826343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87년 체제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일본의 사회학자 요코타 노부코는 정치구조가 아닌 경제구조로서의 87년 체제에 주목한다. 요코타 노부코가 정의하는 87년 체제는 대기업 남성 노동자로 구성된 ‘중핵 노동자’와 여성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 중소 영세기업 노동자로 구성된 ‘주변 노동자’가 확연히 구분된 분단 노동시장 체제이다. 이 책은 87년 이후 심화된 분단 노동시장 체제의 역사를 따라가며 기존의 한국 노동시장 연구들이 놓치고 있었던 비정규직 노동의 구조를 드러내고자 한다.

무엇보다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단편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반면, 이 책은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징을 총체적이며 역사적으로 해설한다. 주요 분석 대상은 노동시장이지만, 단순히 현상 분석에 그치지 않고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이 생산 체제, 노사관계, 노동 정책, 그리고 젠더관계 등의 구조적 변화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에 대해 고찰한다. 이러한 분석은 일본의 노동경제 연구에도 중요한 논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2012년 일본사회정책학회 장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Contents
서장 문제의식과 분석 시각 5
1. 문제의식 5
2. 본서의 구성과 분석 시각 8

제1장 개발연대에서 도시 하층의 형성과 노동시장 23
1. 문제 제기 23
2. 농촌에서의 인구 유출과 도시 하층의 형성 29
3. 도시 무허가 정착지 내부 구성의 변화 35
4. 공장 노동자의 존재 형태 49
5. 개발연대의 노동시장 구조와 노동 통제 59

제2장 노동자대투쟁과 ‘87년 체제’의 성립 67
1. 문제 제기 67
2. 1980년대 노동력 부족 상황과 대기업에서의 노동력 기업 내
양성의 시작 72
3. 기업에의 노동력 정착성 격차와 노동력 이동 83
4. 임금 격차와 임금 체계 100
5. ‘분단 노동시장 체제’로서의 ‘87년 체제’의 성립 112

제3장 ‘신경영전략’의 전개와 ‘87년 체제’의 변화 117
1. 문제 제기 117
2. 노동자대투쟁에서 IMF 경제위기까지 고용 상황과 취업 구조 변화 122
3. 노동자대투쟁에서 IMF 경제위기까지 제조업 남성 생산 노동자의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 132
4. 대기업에서의 ‘신경영전략’의 전개와 내부 노동시장 구조의 심화 144
5. ‘87년 체제’ 아래에서 ‘분단 노동시장 체제’의 변화 162

제4장 IMF 경제위기 이후의 생산 체제와 ‘내부 노동시장 체제’의 변화 171
1. 문제 제기 171
2. 1990년대 이후 노동의 비정규직화와 취업 구조 변화 177
3. 노동시장의 규제 완화 정책과 기업의 구조조정 190
4. 생산 체제와 노동력 구조의 변화 202
5. ‘중핵 노동자’의 비정규직화와 ‘내부 노동시장 체제’의 위축 231

제5장 젠더 시점에서 본 한국 노동의 비정규직화 239
1. 문제 제기 239
2. 한국에서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특징 245
3. 한국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공식성’과 젠더 구조 254
4. 한국 노동자 가족의 생활 구조 276
5. 한국의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의 새로운 모색 287

종장 새로운 노동운동의 모색을 위하여 299
1. 도시 하층의 형성 299
2. 노동자대투쟁과 ‘87년 체제’의 성립 301
3. ‘87년 체제’의 변화 302
4. IMF 경제위기 이후의 ‘내부 노동시장 체제’의 변화 305
5. IMF 경제위기 이후 노동의 비정규직화와 젠더 구조 307
6. 새로운 노동운동 모델을 찾아서 310

후기 313

참고문헌 318
Author
요코타 노부코
1991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했으며, 2001년 같은 곳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국제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경제론, 동아시아경제론, 개발과 젠더에 대해서 가르쳤다. 2016년부터 일본 관서학원대학 사회학부 교수로서 경제사회학과 산업사회학에 대해 가르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의 개발경제사회학, 특히 노동문제의 여러 영역을 젠더의 시각에서 연구 중이다. 공저로 『동아시아의 격차사회』(東アジアの格差社?),『글로벌화와 아시아 여성: 노동과 삶』(한울, 2007)이 있으며, 학술 논문으로는 “A New Attempt at Organizing Irregular Workers: Examini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Women’s Trade Union” 등이 있다.
1991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했으며, 2001년 같은 곳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야마구치대학 경제학부 국제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경제론, 동아시아경제론, 개발과 젠더에 대해서 가르쳤다. 2016년부터 일본 관서학원대학 사회학부 교수로서 경제사회학과 산업사회학에 대해 가르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의 개발경제사회학, 특히 노동문제의 여러 영역을 젠더의 시각에서 연구 중이다. 공저로 『동아시아의 격차사회』(東アジアの格差社?),『글로벌화와 아시아 여성: 노동과 삶』(한울, 2007)이 있으며, 학술 논문으로는 “A New Attempt at Organizing Irregular Workers: Examini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Women’s Trade Union”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