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 10대학(Nanterre) 철학과에서 ‘현상학적 미적 지각과 체험’에 관해 연구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에 돌아와 대학에서 ‘현상학’, ‘프랑스철학’, ‘미학’, ‘사진영상매체’와 관련된 강의를 했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의 책임연구원이자 학부대학 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진과 관련된 주요 논문으로는 현상학적 지각과 존재론에 근거해 현대 디지털사진의 존재론 특징을 연구한 「현대 사진 속 ‘상상적인 것’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가 있다. 나아가 사르트르 및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시선과 프로이트, 라캉의 정신분석적 시선에 근거해 사진의 존재론적 특성 및 체험에 대해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에 나타난 ‘interfuit’의 의미와 효과」와 「사진에서 응시와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 진실: 현상학적·정신분석적 이해」란 논문으로 발표했다. 최근에는 초연결적 지능형 자동화시대를 맞아 인간과 기술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현대와 미래의 기술문화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와 연관된 주요 논문으로는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나타난 ‘기술성(technicite)’의 의미: 현대 정보기술문화 이해를 위한 소고」,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탐색: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4차 산업혁명의 O2O 플랫폼으로서 AR」, 「‘상호적응형 자동화’모델로서 인간행위-공유플랫폼의 융화: 컬쳐팩토리로서 팹랩」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이 외에도 공저로는 『미학』,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 현상학의 흐름으로 보는 현대 프랑스 사상』, 『하이브리드 포이에시스: 첨단과학기술에 관한 인문적 사유』, 『공공성과 미래사회』 등이 있다. 또한 역서로는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가 있다.
프랑스 파리 10대학(Nanterre) 철학과에서 ‘현상학적 미적 지각과 체험’에 관해 연구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에 돌아와 대학에서 ‘현상학’, ‘프랑스철학’, ‘미학’, ‘사진영상매체’와 관련된 강의를 했고,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의 책임연구원이자 학부대학 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진과 관련된 주요 논문으로는 현상학적 지각과 존재론에 근거해 현대 디지털사진의 존재론 특징을 연구한 「현대 사진 속 ‘상상적인 것’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가 있다. 나아가 사르트르 및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시선과 프로이트, 라캉의 정신분석적 시선에 근거해 사진의 존재론적 특성 및 체험에 대해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에 나타난 ‘interfuit’의 의미와 효과」와 「사진에서 응시와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 진실: 현상학적·정신분석적 이해」란 논문으로 발표했다. 최근에는 초연결적 지능형 자동화시대를 맞아 인간과 기술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현대와 미래의 기술문화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와 연관된 주요 논문으로는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나타난 ‘기술성(technicite)’의 의미: 현대 정보기술문화 이해를 위한 소고」,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탐색: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4차 산업혁명의 O2O 플랫폼으로서 AR」, 「‘상호적응형 자동화’모델로서 인간행위-공유플랫폼의 융화: 컬쳐팩토리로서 팹랩」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이 외에도 공저로는 『미학』,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 현상학의 흐름으로 보는 현대 프랑스 사상』, 『하이브리드 포이에시스: 첨단과학기술에 관한 인문적 사유』, 『공공성과 미래사회』 등이 있다. 또한 역서로는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