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지리학

$32.08
SKU
978897682627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23 - Tue 04/2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ue 04/2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10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88976826275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 10번째 책. 저자 브렌던 글리슨은 공간, 장소, 이동성 등과 관련된 지리적 문제들이 장애인들의 경험을 어떻게 제한 또는 억압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장애인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공간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지리학적 관점에서 기존 이론들을 비판하고,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에 따른 장애인들의 공간경험 변화를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장애인들에게 불리한 공간을 생산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메커니즘이다.
Contents
감사의 글 7

1장 서론 13
이 책의 목적 13 | 장애에 관한 개관 18 | 포함과 배제 24 | 용어에 관한 서술 30 | 책의 체계 31

1부 장애의 사회공간적 모형 37

2장 사회과학과 장애 38
서론 38 | 장애 연구 39 | 공간적 학문 64 | 결론: 비판에서 이론으로 71

3장 장애의 본질 76
서론 76 | 자연의 생산 78 | 체현된 역사유물론 94 | 공간의 생산 99 | 체현된 역사·지리적 유물론 108 | 장애의 사회공간적 생산 114 | 결론: 서술되어야 할 역사 119

2부 장애의 역사지리 123

4장 역사·지리적 유물론과 장애 124
서론 124 | 장애의 역사에 대한 전통적 접근방법 126 | 역사지리적 접근 138 | 결론 150

5장 봉건 영국에서 장애의 사회공간 152
도입 152 | 일상생활의 물질적 맥락 155 | 신체적 결함과 일상생활 163 | 결론: 봉건적 사례의 숙고 190

6장 산업도시에서 장애의 사회공간 196
도입 196 |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 198 | 산업도시의 성장 205 | 식민지 멜버른 220 | 결론 241

3부 현대의 장애 지리학 245

7장 장애와 자본주의 도시 246
서론 246 | 사회적 억압으로서의 장애 247 | 장애를 야기하는 도시 262 | 저항의 공간 270 | 탈장애 정의 275 | 결론 291

8장 지역사회 보호: 정의의 환경? 293
서론 293 | 탈시설화 296 | 님비의 위협 300 | 계획 상황 305 | 사회정책 재편 310 | 결론: 정의의 한계 327

9장 도시 접근성 규제 331
서론 331 | 장애 공간의 생산 334 | 뉴질랜드의 접근권 규제 342 | 더니든 사례 연구 348 | 권리에 기반한 접근방식? 368 | 결론 372

10장 탈장애의 지리학을 향하여 375
서론 375 | 주장의 요약 376 | 새로운 장애의 지리학 379

부록 사용된 1차 자료에 관한 주석 397
봉건 시대의 사례 연구(5장) 397 | 산업자본주의 사례 연구(6장) 401 | 뉴질랜드 두네딘 사례연구(9장) 410

옮긴이 후기 413
참고문헌 421
지은이·옮긴이 소개 464
Author
브렌던 글리슨,최병두,임석회,이영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대학교 도시정책연구 교수이며, 지속가능한 사회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아일랜드국립대학교 지리학 교수였고, 그리피스대학교 도시연구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초대 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도시계획과 거버넌스, 도시사회정책, 장애연구, 환경이론 및 정책 등이며, 최근에는 교외지역의 사회공간적 분석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도시 조건』(The Urban Condition, 2014)이 있고, 공저로는 『정의, 사회, 자연』(Justice, Society and Nature: An Exploration of Political Ecology, 1998), 『도시 소비하기』(Consuming Cities: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Global Economy after Rio, 1999), 『공공 도시』(The Public City, 2014), 『교외의 탈성장』(Degrowth in the Suburbs: A Radical Urban Imaginary, 2018) 등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대학교 도시정책연구 교수이며, 지속가능한 사회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아일랜드국립대학교 지리학 교수였고, 그리피스대학교 도시연구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초대 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도시계획과 거버넌스, 도시사회정책, 장애연구, 환경이론 및 정책 등이며, 최근에는 교외지역의 사회공간적 분석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도시 조건』(The Urban Condition, 2014)이 있고, 공저로는 『정의, 사회, 자연』(Justice, Society and Nature: An Exploration of Political Ecology, 1998), 『도시 소비하기』(Consuming Cities: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Global Economy after Rio, 1999), 『공공 도시』(The Public City, 2014), 『교외의 탈성장』(Degrowth in the Suburbs: A Radical Urban Imaginary, 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