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는 장애는 없다 큰글자책

장애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
$43.96
SKU
978897682568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7/25
Pages/Weight/Size 196*277*35mm
ISBN 9788976825681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시력 약자를 위해 판형과 글자를 키운 큰글자책입니다.

한국 사회의 장애관(觀)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장애 담론의 형성을 시도하는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의 첫번째 권. 케냐, 소말리아, 우간다, 보츠와나, 터키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장애'라는 개념이 어떻게 규정되고(혹은 규정되지 않고) 인식되는지를 탐구하는 장애의 문화인류학 보고서이다. 이를 통해 생물학적 손상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장애’가 ‘근대 서구’라는 특수한 사회적 맥락에서, 국가권력과 의료권력에 의해 구성된 개념임을 밝히고, 이 개념의 균열과 해체를 모색해 본다.
Contents
책머리에 4
서장 장애와 문화 _ 수잔 레이놀스 휘테·베네딕테 잉스타 13
장애에 대한 보편적 정의? 17 | 유럽-미국적인 장애 23 | 차이와 인격 30 | 사회조직과 장애 34 | 사회적 처지와 장애 44 | 장애 해석 과정들의 분석 50 | 역사적 변환들 55

1부 장애, 우주론, 인격 65

1장 인격체와 비인격체 : 보르네오 중부 푸난바족 사이에서의 장애와 인격 _ 이다 니콜라이센 71
푸난바족, 그들의 사회와 문화 79 | 몸의 이미지들과 장애 80 | 공간성과 가시성 89 | 인격과 장애 93 | 결론 101

2장 아이는 아이일 뿐이다 : 케냐 마사이족 사이에서의 장애와 평등 _ 에우드 탈레 106
목축민 마사이족 108 | 누가 장애인인가? 111 | 질병과 장애에 관한 신념 115 | 파멜레우: 저주의 사례 124 | 장애인의 치료와 장애인에 대한 태도 128 | 차이들 내에서의 정상성 133

3장 불치병으로서의 장애 : 소말리아 남부에서의 건강, 건강추구의 과정, 인격 _ 베른하르드 헬란데르 137
장애인들 141 | 건강추구의 과정 149 | 의사소통과 평가하기 154 | 질환?-꼬리표들 159 | 자비 또는 재활? 167 | 결론 169

4장 왜 장애인이 되었나? : 한 아프리카 사회에서의 신체적 장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 _ 파트리크 데블리허르 174
신체적 장애와 사회적 지위 177 | 송게족 사회에서의 장애에 대한 대처 181 | 문화에 의해 형성되는 장애 이슈들 182 | 물리적 환경 184 | 마법 186 | 조상들 189 | 신부대 190 | 신 191 | 결론 192

5장 병든다는 것 그리고 나를 찾는 것 : 다발성경화증 내러티브 속에서의 자아, 몸, 시간 _ 주디스 멍크스·로널드 프랑켄버그 196
연구의 배경 202 | 초기 204 | 중기 209 | 말기 229 | 장애인의 삶에 대한 전범으로서의 라이프스토리와 질환 내러티브들 243 | 결론 248

2부 ?장애의 사회적 맥락 253

6장 사회적 만남들 : 미국 사회의 침묵하는 몸 _ 로버트 머피 260?

7장 눈이 보이는 애인과 맹인 남편 : 우간다에서 맹인 여성들의 경험 _ 나인다 센툼브웨 300
문제의 정의 301 | 맹에 대한 인식 303 | 맹인의 취약성 306 | 지속되는 병자 역할 307 | 우간다 여성의 가사 역할 309 | 성교 및 부부관계 312 | 맹인 여성들의 성교 및 결혼 기회 315 | 섹슈얼리티와 가정생활에서의 사회관계들 319 | 유능한 우간다 여성의 예로서의 맹인 여성들 321 | 눈이 보이는 남성들과의 성적 관계가 갖는 사회적 함의들 322 | 결론 324

8장 재활에 대한 공적 담론들 : 노르웨이에서 보츠와나로 _ 베네딕테 잉스타 329
노르웨이 332 | 보츠와나 344 | 재활담론들의 이전 357

9장 영웅, 거지, 또는 스포츠 스타 : 니카라과에서 장애인 정체성의 협상 _ 프랑크 잘레 브룬 368
배경 371 | 혁명적 보건의료 373 | 산악지대로부터의 귀향 374 | 거지와 영웅에 대한 신문 기사들 380 | 장애 관련 단체들과 장애인 스포츠 스타들 383 | 영웅과 순교자들 388 | 결론 391

10장 장애와 이주 : 하나의 사례 이야기 _ 리스베트 사크스 394
몇 가지 개념들 396 | 배경 400 | 서구 생의학과의 맞닥뜨림 403 | 되네의 이야기 405 | 되네의 아들에 대한 터키인 이주자 마을 여성들의 견해 414 | 되네의 아들에 대한 스웨덴 의사들의 견해 418 | 결론 421

11장 간질의 문화적 구성 : 동아프리카에서의 이미지와 맥락들 _ 수잔 레이놀스 휘테 424
하나의 문화적 범주로서의 간질 429 | 벌레와 오염에 대하여 436 | 원인과 치료법들 444 | 간질의 사회적 맥락 451 | 우리의 개념과 그들의 경험 458

12장 음포 야 모디모 ? 신으로부터의 선물 : 장애인을 향한 ‘태도’에 대한 조망 _ 베네딕테 잉스타 462
신화의 형성 462 | 장애아동의 어머니라는 처지에 있는 인류학자 465 | 보츠와나 466 | 태도라는 개념 475 | 결론 491

종장 담론과 경험 사이에서의 장애 _ 수잔 레이놀스 휘테 496
장애의 서구적 구성 500 | 종족?-기형학: 이례적인 것에 대한 담론 504 | 불운으로서의 차이: 원인에 대한 담론 510 | 엘리펀트맨의 교훈 514 | 경험과 표상 518 | 현지조사, 담론, 경험 527

옮긴이 후기 541
참고문헌 550 | 찾아보기 568
Author
베네딕테 잉스타,수잔 레이놀스 휘테,김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