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 일본불교가 변화하는 현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근대 지식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불교 사상 연구에 힘써 왔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전통사상인 불교가 근대를 맞이하여 근대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윤리로서 각광받고 새로운 학문으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양상을 분석하는 한편, 천황제 파시즘을 긍정하고 침략전쟁을 옹호하는 과정을 비판한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제1부 근대 사상과 불교
1. 일본의 근대는 왜 불교를 필요로 했는가
일본 근대의 중층성│나쓰메 소세키의 경우│‘개체’와 ‘개체를 초월한 존재’│
근대 불교가 담당했던 것│니시다철학의 과제
2. 안으로의 침잠은 타자에게 향할 수 있는가─메이지 후기 불교 사상이 제기한 문제
근대불교에 대한 시각│절대천황제하의 불교│무한책임과 무책임─기요자와 만시의 경우│스즈키 다이세쓰는 호전적인가│다양한 가능성
3. 교토학파와 불교
전쟁과 교토학파│교토학파관의 변모│조금 다른 형태로│아시아라는 시각에서
4. 아사세 콤플렉스론을 둘러싸고
아사세 콤플렉스란│아사세 이야기의 전개│아사세 콤플렉스 재고
제2부 해석의 지평
1. 와쓰지 데쓰로의 원시불교론
와쓰지 데쓰로의 고전 연구│와쓰지 데쓰로의 원시불교론│와쓰지의 불교 해석의 문제점
2. 마루야마 마사오의 불교론─‘원형=고층’에서 세계종교로
‘전통’의 형성을 향하여│마루야마 사상사의 형성│원형=고층론의 문제│고대 사상의 전개와 불교│고대불교론│가마쿠라 불교론│결어가 될 수 없는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