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차별에 맞서 장애 담론이 걸어온 길』은 1970년대 중반 (주로 영미권) 대학 바깥의 실천적인 움직임으로부터 태동된 ‘장애학’의 발전과 논쟁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다. 그러나 저자들이 이 책에 담고자 했던 것은 장애학이 사회과학의 분과학문으로서 아카데미 내에서 발전해 온 양상이 아니다. 이들은 ‘인간, 노동, 능력, 평등, 차이’ 등을 바라보는 사회의 인식에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통해 ‘장애화’(disablement)에 개입하고 저항하려 했던 실천적 고민들의 역사를 담고자 한다. ‘장애학의 오늘’은 이러한 논쟁의 진폭 가운데에서 형성되고 끊임없이 재정립해 온 것이다.
이 책은 ‘장애는 사회적인 차별과 배제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사회적 장애모델’의 관점을 기본적으로 견지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 모델이 간과하기 쉬운 ‘손상의 경험’이라는 문제, ‘계급?젠더?인종?섹슈얼리티?연령’ 등과의 교차성 문제, 지구화에 의해 새롭게 파생되고 있는 문제 등을 아울러 다룬다. 또한 전통적인 보수 진영의 논리(의료적, 개별적, 자선적 관점)를 비판하는 것을 넘어, 진보 진영의 장애 정책이 내포하고 있는 또 다른 배제의 혐의에 대해서도 짚는 등 상호 보완적이고 경합적인 논쟁의 흐름을 보여 준다.
이 책이 개관하고 있는 장애 정치와 담론의 역사는 다양한 정치적 주체들의 세력화, 사회적 자원의 배분 등과 필연적으로 맞닿아 있을 수밖에 없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역동적인 정치사를 장애 문제와 장애인 주체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장애 정치를 아우르는 사회 정치의 현주소를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지은이 소개
1장 / 서론 _ 콜린 반스·마이클 올리버·렌 바턴
배경 | 장애학의 등장 | 장애학과 대학 | 장애학이란 무엇이며, 이 책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
2장 / 미국의 실용주의, 사회학, 장애학의 발전 _ 게리 알브레히트
미국의 실용주의 | 실용주의, 미국 사회학, 장애학의 합류 | 사회 운동과 정치 | 미국적 가치들과 장애의 정치경제학 | 미국 예외주의와 장애학의 미래
3장 / 장애 이론: 핵심 개념, 이슈, 사상가 _ 캐럴 토머스
들어가며 | 사회적 장애모델 | 비판받아 온 장애에 대한 개념들 | 장애학 내의 논쟁들 | 나가며
4장 / 장애와 몸 _ 빌 휴스
들어가며 | 명제 | 반명제 | 합명제 | 나가며
5장 / 분할과 위계의 이론화: 공통성 혹은 다양성을 향하여? _ 아이샤 버넌·존 스웨인
들어가며 | 경험에 대한 성찰: 동시적 억압? | 정체성에 대한 성찰 | 장애 이론에 대한 성찰 | 나가며
6장 / 역사, 권력, 정체성 _ 앤 보세이
들어가며 | 사회학과 역사학 | 장애의 역사 | 문화적 관점을 향하여 | 도덕적 감시 | 의학적 감시 | 저항의 정치 | 정체성과 역사 | 나가며
7장 / 노동, 장애, 장애인 그리고 유럽의 사회 이론 _ 폴 애벌리
들어가며 | 장애와 시민권 담론 | 기능주의와 장애 | 장애의 역사적 구성 | 맑스주의, 산업화, 손상 | 존중 | 노동과 오늘날의 장애 이론 | 복지국가의 본질 | 여성주의의 분석과 사회적 지위 | 나가며
8장 / 달을 향해 쏘다: 21세기 초의 정치와 장애 _ 필 리
들어가며 | ‘장애인’ 유권자 | 현재의 정치적 국면 | 장애의 정치화: 신사회운동? | 탈근대주의적 분석의 영향력 | 차이와 특수주의적 보편주의 | 자기조직화 | 신사회운동만으로 충분한가? | 사회적 모델: 개념적으로는 강력한, 정치적으로는 문제의 여지가 있는 | 정체성의 정치가 지닌 한계들 | 권리들을 의제화하기 | 국가적 조치 | 정치, ‘차이’, 노동 | 연합의 정치: 하나의 결론
9장 / 학문적 논쟁과 정치적 권리옹호: 미국의 장애 운동 _ 할런 한
들어가며 | 장애 정책의 약사 | 정치적·개념적 대안들의 추구 | 권한강화: 대안적 해결책 | 나가며
10장 / 지구화와 장애 _ 크리스 홀든·피터 베리스퍼드
들어가며 | 지구화의 정치경제학 | 장애: 산업화로부터 지구화로 | 지구화, 사회 정책, 장애인 | 지구화, 사회적 돌봄, 장애인 | 나가며
11장 /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의 장애, 시민권, 권리 _ 마샤 리우
시민권 | 지구화 | 권리가 존재하지 않는 시민들 | 사회권을 지구화하기
12장 / 해방적 장애 연구_ 제프 머서
들어가며 | 기생적 인간들 | 패러다임 전쟁 | 해방적 연구 | 나가며
13장 / 장애, 대학, 통합 사회 _ 콜린 반스·마이클 올리버·렌 바턴
들어가며 | 21세기의 장애학과 대학 | 장애 운동과 대학 | 장애학과 통합사회 | 대학과 탈근대성 | 개인적 소견 | 맺음말
옮긴이 후기
본문에 쓰인 약어 목록 | 참고문헌
찾아보기 … 법령·선언·규약 | 개념어 및 단체·기구 | 인명 및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