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 김우옹은 남명 조식의 조카사위로서 스승의 훈도 아래 경의敬義의 가르침을 온몸으로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남명으로부터 성성자惺惺子를 물려받은 후 일생동안 경敬의 자세를 무너뜨림이 없었으며, 남명의 명에 따라 [천군전]을 지음으로써 우리나라 천군소설의 효시가 되었다. 태재 경敬과 백규 의義의 두 재상이 마음인 천군天君을 보익하여 일신을 평온케 함을 말하는 [천군전]은 남명사상의 핵심인 ‘경의협지敬義挾持’의 정신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이번에 내는 책은 그동안의 동강 김우옹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선별하여 다시 해당 필자의 수정을 거친 것으로, 지금까지 나온 동강 김우옹 관련 연구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으로 그의 학문세계에 관한 모든 것이 밝혀진 것은 물론 아니다. 남명학과 퇴계학의 두 갈래에 동시에 연원을 대고 있는 그의 학문이 다시 또 어떻게 변용 발전해 갔는가를 밝히는 일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Contents
제1장 [동강집] 해제 ∥ 정현섭(경상대학교 연구교수)
제2장 동강 김우옹의 출처와 학문 ∥ 이상하(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무처장)
제3장 동강 김우옹의 정치철학과 붕당론의 전개 ∥ 설석규(전 경북대학교 교수, 작고)
제4장 김우옹의 경전이해방법과 '성학육잠'의 의미구조 ∥ 정우락(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5장 동강 김우옹의 주자학 수용양상 ∥ 이영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제6장 동강 김우옹 문학에 나타난 수양론의 대립적 구조에 관하여 ∥ 조창규(경성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제7장 '천군전'으로 본 16세기 소설사의 한 경향 ∥ 장경남(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8장 [천군전]의 심성론적 성격과 의미 ∥ 최천집(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교양교육원 교수)
제9장 동강 김우옹 '천군전'의 교육적 의미 ∥ 채휘균(영남대학교 강의교수)
제10장 동강 김우옹의 제왕교육론 ∥ 송준식(한국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