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와 기의 관계는 리기 개념이 성리학의 가장 핵심적인 범주쌍으로 정립된 이래 줄곧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책은 이처럼 끊임없이 이어져 온 리기 관계 논의를 ‘체험주의와 개념적 은유이론’이라는 방법론에 기초하여 새로이 정립한다. 이 책은 성리학의 주요 개념인 리와 기를 인승마 곧 켄타우로스뿐 아니라 일상적이고 경험 가능한 물과 그릇, 달과 강, 말과 사람 등의 구체적인 대상을 빌려 리기 개념을 좀 더 구체화하고 있다.
Contents
[제1부] 사례들
제1장 서명의 은유적 구조
제2장 주희 리일분수의 은유 분석
제3장 구석진 여백
제4장 잃어버린 보물
[제2부] 말타기의 관점에서
제1장 인승마 은유의 형성과 변형 1
제2장 인승마 은유의 형성과 변형 2
제3장 말타기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