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학은 남명학에서 강조하는 치용적 자세를 지니면서도 퇴계학에 나타나는 거경궁리에 힘썼다. 그러나 동시에 남명의 노장풍과 퇴계의 사변적 성리학을 모두 지양하고 실용주의적 노선을 구축했다. 이와 같은 학풍은 한강 당대에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광범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한강의 학풍은 여헌 장현광을 통해 영남 내륙으로 흘러들고 미수 허목을 통해 근기실학과 접목되면서 한국사상사를 더욱 풍성하고 폭넓게 발전시켰다.
Contents
서문
제1장 『한강집』해제 ∥ 정우락
1. 서지사항
2. 간행 경위
3. 저자 소개
제2장 한강 정구의 학문연원과 도통적 위상 ∥ 우경섭
1. 머리말
2. 가계 및 생애
3. 학문연원과 도통의식
4. 후대의 평가와 도통적 위상
5. 맺음말
제3장 한강 정구의 학문과 조선유학사에서의 위치 ∥ 최영성
1. 머리말
2. 학문 배경 및 유학사에서의 위치
3. 학문방법과 학문성향
4. 심학의 전개와 양기집의
5. 예학사상의 특질과 복고정신
6. 응용구시의 학풍과 실학사상의 연원
7.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