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정구

$34.56
SKU
978897646279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8/3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76462794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강학은 남명학에서 강조하는 치용적 자세를 지니면서도 퇴계학에 나타나는 거경궁리에 힘썼다. 그러나 동시에 남명의 노장풍과 퇴계의 사변적 성리학을 모두 지양하고 실용주의적 노선을 구축했다. 이와 같은 학풍은 한강 당대에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광범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한강의 학풍은 여헌 장현광을 통해 영남 내륙으로 흘러들고 미수 허목을 통해 근기실학과 접목되면서 한국사상사를 더욱 풍성하고 폭넓게 발전시켰다.
Contents
서문

제1장 『한강집』해제 ∥ 정우락
1. 서지사항
2. 간행 경위
3. 저자 소개

제2장 한강 정구의 학문연원과 도통적 위상 ∥ 우경섭
1. 머리말
2. 가계 및 생애
3. 학문연원과 도통의식
4. 후대의 평가와 도통적 위상
5. 맺음말

제3장 한강 정구의 학문과 조선유학사에서의 위치 ∥ 최영성
1. 머리말
2. 학문 배경 및 유학사에서의 위치
3. 학문방법과 학문성향
4. 심학의 전개와 양기집의
5. 예학사상의 특질과 복고정신
6. 응용구시의 학풍과 실학사상의 연원
7. 맺음말

제4장 한강 정구의 수양론 ∥ 유권종
1. 서론
2. 성학적 의식기반
3. 심학적 수양의 요령
4. 심학과 예학의 상호연관
5. 통합적 기제로서의 심학의 구조
6. 결론

제5장 『심경발휘』에 나타난 한강 심학의 특성 ∥ 전재강
1. 『심경발휘』와『심경부주』
2. 편집 경위와 체계
3. 한강 심학의 특성
4. 천인조화와 '경' 중심의 심학

제6장 한강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장윤수 · 임종진
1. 서론
2. 한강 정구의 사상과 삶의 지향성
3.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자들의 사상과 삶의 지향성
4.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
5. 결론

제7장 한강 정구의 예학사상 ∥ 금장태
1. 문제의 성격
2. 정구 예학의 배경
3. 정구 예학의 기본구조와 체계
4. 정구 예학의 중요 과제와 쟁점
5. 정구 예학의 특성과 의의

제8장 선유를 통해 본 낙강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 김학수
1. 머리말
2. 낙강의 공간적 특성과 선유 전통 : 공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상징의 창출
3. 17세기 낙강 연안지역 선비들의 선유와 집단의식 : 한려학인을 중심으로
4. 맺음말

제9장 한강 정구의 학문성향과 문학 ∥ 이상필
1. 머리말
2. 학문 배경
3. 학문 성향
4. 작품세계
5. 맺음말

제10장 한강 정구의 「유가야산록」과 그 심미경계 ∥ 박영민
1. 서론
2. 유산, 자연과의 심성적 교감에서 천리의 체득으로 나아가는 길
3. 관물우회와 완물상지의 경계를 깨닫다
4. 유산의 절정과 자득지락의 심미경계
5. 결론

제11장 한강 정구의 사회교육사상 ∥ 송준식
1. 서론
2. 정구의 사회교육관
3. 서원을 통한 사회교육
4. 독서계를 통한 사회교육
5. 향음주례를 통한 사회교육
6. 결론

제12장 한강 정구의 무흘정사 건립과 저술활동 ∥ 정우락
1. 문제의 제기
2. 정구의 무흘 입동 이유
3. 무흘정사의 위치와 구조
4. 무흘정사에서의 저술활동
5. 무흘정사의 연혁
6. 남은 문제들

제13장 한강 정구의 유거공간과 「무흘구곡도」 ∥ 윤진영
1. 머리말
2. 구곡도의 전승과 무흘구곡
3. 「무흘구곡도」의 검토
4. 맺음말

제14장 16~17세기 한강 정구의 지리지 편찬 ∥ 김문식
1. 머리말
2. 생애와 저술
3. 지리지 개관
4.『함주지』의 분석
5. 지리지 편찬의 의의
6. 맺음말

제15장 『檜淵及門諸賢錄』小考 ∥ 권연웅
1. 서언
2. 편찬과정 및 체제
3. 한려시비寒旅是非
4. 문인의 성분
5. 결어
Author
남명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