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문서원에서 출간하는 '한국의 사상가 10인' 시리즈는 한국의 대표적인 사상가 10인을 선정하여 그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사를 정리함으로써 이들 사상가들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에 충실한 나침반을 제공해 보자는 것이다. 이런 기획의도에 따라 이 시리즈는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부분은 해당 사상가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사를 편저자가 총괄적으로 정리한 해제이다. 이를 통하여 해당 사상가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가 어떤 궤적을 그리며 진행되어 왔는가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둘째 부분은 해당 사상가의 사상적 면모를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해 주는 대표적인 논문들의 모음이다. 해당 사상가의 사상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체계화되었으며, 또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무엇이 쟁점인가 하는 실질적인 문제에 대한 이해를 이 부분을 통하여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째 부분은 연구물 목록이다. 여기에는 그동안 나온 해당 사상가에 대한 연구 성과물이 총망라되어 있어 유용한 자료집 역할을 한다.
Contents
해제 : 원효 연구의 어제와 오늘/고영섭
제1부 : 원효의 일심학
불교의 총화성과 원효의 근본사상/조명기
원효의 『기신론,별기』를 통해 본 진ㅅㄱ원융무애관과 그 성립 이론/고익진
원효의 삼세, 아라야 식의 창안/은정희
여래장설과 원효/이평래
원효의 통일학/고영섭
제2부 원효의 화회론
원효의 『십문화쟁론』 연구/이종익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화회의 세계/김영태
원효 사상 전개의 문제점/박성배
원효에 있어서 화쟁과 언어의 문제/최유진
『대승기신론』사상을 평가하는 원효의 관점/박태원
한국불교사 및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동국대학교 석사, 박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저서로는 『한국불학사』(1-3책), 『한국사상사』,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1-2책), 『분황 원효』, 『원효, 한국불교의 새벽』,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