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행정의 의의 21
제1절 현대 민주주의의 원칙과 행정 논의의 범위 22
제2절 공공성과 공공 문제 23
1. ‘공공’의 개념/23
2. ‘공공성’ 개념의 접근 관점/25
3. 공공 문제/26
제3절 행정의 개념과 기능 27
1. 행정의 개념/27
2. 행정의 기능/30
제4절 행정의 과정 33
제2장 정부와 시장, 그리고 시민 37
제1절 정부 38
1. 사회와 국가/38
2. 정부의 개념/40
제2절 시장 41
1. 정부와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41
2. 정부와 시장 관계의 역사적 전개 과정/43
제3절 시민 48
1. 국민주권주의와 행정의 민주적 정당성/48
2. 민주주의의 변천: 대의민주주의에서 직접민주주의로/49
제3장 정부의 역할: 경제성장과 복지 53
제1절 경제정책 54
1. 시장경제의 조건/54
2. 정부 경제정책의 변천/55
3. 정부의 경제적 역할/57
4. 정부의 시장 개입에 대한 논거: 시장의 실패/65
5. 경제정책의 쟁점: 자유시장주의 대 정부개입주의/74
제2절 복지정책 77
1. 복지국가 이론: 복지제도와 정부의 역할/77
2. 복지개혁 논의: 근로연계복지의 확대와 쟁점/82
제4장 공공서비스 91
제1절 공공서비스의 개념·유형 및 공급 방식의 변화 92
1. 공공서비스의 특성/93
2. 공공서비스의 유형/95
3. 공공서비스 공급 방식의 유형/96
4.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97
제2절 공공서비스 생산의 적정 규모에 관한 논란 98
1. 공공서비스 규모 확대 원인으로서의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99
2. 공공서비스 규모 확대 원인으로서의 정치·경제사상의 변화/100
3. 공공재 규모 확대 원인으로서의 관료제 정치/100
제2편 행정환경,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주요 이론
제5장 행정환경 107
제1절 정치와 행정 108
1. 정치와 행정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108
2. 정치와 행정의 관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차원/109
3. 한국의 정치와 행정의 관계 특징/111
제2절 시장(경제)과 행정 114
제3절 시민사회와 행정 115
1. 시민사회의 의의와 대두 과정/115
2. 시민사회 등장의 행정학적 함의/117
3. 정부와 NGO/118
4. 한국의 시민사회와 행정/124
제6장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주요 이론 127
제1절 접근방법과 방법론 128
1. 접근방법의 개념/128
2.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128
제2절 접근방법의 다양한 유형 130
1. 역사적 접근방법/131
2. 법률적·제도론적 접근방법과 신제도론적 접근방법/131
3. 생태론적 접근방법/135
4. 행태론적 접근방법과 탈행태론적 접근방법/135
5. 체제적 접근방법/138
6. 현상학적 접근방법/140
제3절 최근 행정학의 주요 이론 141
1. 공공선택론/141
2. 신공공관리론과 탈신공공관리론/143
3. 신공공서비스론/152
4. 뉴거버넌스적 접근방법/156
5. 포스트모더니즘 접근방법/159
제3편 한국의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와 공직 윤리
제7장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와 윤리 167
제1절 행정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168
1. 행정윤리의 개념/168
2. 행정윤리의 중요성/169
제2절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174
1. 본질적 가치: 정의와 공익/174
2. 수단적 가치: 형평성, 민주성, 능률성, 합법성, 투명성/178
제8장 한국의 공직 윤리 187
제1절 행정 책임과 부패 188
1. 행정 책임의 개념과 유형/188
2. 부패의 개념과 방지 전략/190
3. 행정 통제의 의미/190
제2절 공직 윤리의 실제 193
1. 부정청탁금지법/195
2. 국가인권위원회의 기능/195
3. 국민권익위원회의 기능/197
제4편 한국 행정의 변천
제9장 정부 형태와 한국 공공 부문의 실제 201
제1절 정부형태론 202
1. 정부론과 정치체제의 분류/202
2. 정치체제의 유형/204
3. 한국의 정부 형태/208
제2절 한국 공공 부문의 실제 209
1. 공공 부문의 개념과 범위/210
2. 한국의 공공 부문(Ⅰ): 일반정부/213
3. 한국의 공공 부문(Ⅱ): 준정부 부문(공공기관)/219
제10장 한국 정부의 변천 225
제1절 작은 정부인가 큰 정부인가 226
제2절 바람직한 정부관 모색 228
제5편 한국 행정의 실제
제11장 정책 233
제1절 정책의 개념과 유형 234
제2절 정책 과정 235
1. 정책의제설정/236
2. 정책결정/237
3. 정책집행/241
4. 정책분석과 평가/243
제3절 한국의 정책체제 245
1. 정책 과정과 행위자/246
2. 정책결정과 집행의 이해: 기초연금 도입결정과 집행/251
3. 정책분석과 평가: 4대강 사업과 관련한 정책분석 및 평가/257
4. 정책평가와 환류: 정부업무평가 제도를 중심으로/261
제4절 한국 정부의 공화국별 정책체제의 특징 267
1. 제1공화국 정책체제의 특징/268
2. 제2공화국 정책체제의 특징/271
3. 제3·4공화국 정책체제의 특징/273
4. 제5공화국 정책체제의 특징/277
5. 제6공화국 정책체제의 특징/280
제12장 조직 299
제1절 조직 구조 300
1. 조직과 조직 구조/300
2. 조직 구조 모형/301
3. 조직 구조의 상황 요인/303
4. 관료제 모형과 탈관료제 모형/307
5. 지식정보사회의 조직 구조/321
제2절 조직 행태 325
1. 조직 행태의 의미/325
2. 조직 행태 요인/325
3. 지식정보사회의 조직 행태/333
제3절 조직 문화 338
1. 조직 문화의 개념/338
2. 조직 문화의 기능/339
3. 조직 문화의 유형/339
4. 한국 관료제의 조직 문화/342
제4절 한국 공공조직의 현장 345
1. 공무원의 책임성/345
2. 관료제와 민주주의/348
제13장 인사 355
제1절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356
1. 인사행정의 의의/356
2. 인사행정제도의 이해/357
3. 공직구조/367
제2절 한국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371
1. 인적자원관리: 임용에서 퇴직까지/371
2. 인적자원개발 및 성과관리/378
3. 인적자원의 사기 관리/391
제3절 한국 공무원의 행동규범 395
1. 공무원의 신분보장과 징계/395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정책적 중립/396
3. 공무원노동조합/404
제14장 예산 411
제1절 예산의 개념과 원칙 412
1. 예산의 개념/412
2. 예산의 원칙/412
제2절 예산이론과 제도의 발전 416
1. 예산이론/416
2. 예산제도의 발전 과정/419
제3절 한국 예산제도의 실제 423
1. 예비타당성조사/423
2. 민간투자사업/424
3. 의안 비용추계/424
4.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과 e나라도움 운영/425
5. 성인지 예산/426
6. 참여예산 제도/426
제15장 행정개혁과 미래 한국 행정의 모색 429
제1절 행정개혁 일반론 430
1. 행정개혁의 의의와 목표/430
2. 행정개혁의 접근방법과 대상 영역/435
3. 행정개혁의 계기/437
4. 개혁에 대한 저항의 원인과 극복 전략/438
5. 개혁의 정치/442
제2절 한국의 행정개혁 노력 445
1. 민주화 이전의 행정개혁/446
2. 민주화 이후의 행정개혁/448
3. 한국 정부 행정개혁의 특징과 한계/453
제3절 미래 행정의 모색 454
1. 정부실패와 시장실패의 경험, 그리고 제3의 길/454
2. 한국의 행정개혁 방향: 굿 거버넌스/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