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징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 19
1. 인사행정의 개념과 성격/19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20
제2절 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23
제3절 인사행정의 체계 27
1. 내적 체계: 인사행정의 기능/27
2. 외적 체계: 인사행정과 환경과의 관계/30
제4절 인사행정의 주요 가치 31
1. 민주성/31
2. 효율성/32
3. 사회적 형평성/33
4.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33
제2편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37
제2장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제1절 직업공무원제도 39
1. 유럽과 미국에서 인사행정의 발달/39
2. 직업공무원제의 의의/42
3. 직업공무원제의 수립 요건/43
4.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44
5. 최근 경향/45
제2절 정실제와 엽관제 46
1. 발달 배경/46
2. 정실제와 엽관제의 의의/50
3. 엽관제의 장·단점/51
4. 최근 경향/53
제3절 실적제 53
1. 발달 배경/53
2. 의의/57
3. 효과/60
4. 최근 경향/62
제4절 대표관료제 62
1. 발달 배경/62
2. 의의/64
3. 효과/68
4. 다양성관리/70
5. 한국의 통합인사제도/72
제3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의의와 발달 과정 75
제2절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과 조직 특성 77
1.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77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77
제3절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형태 81
1. 독립합의형: 위원회형(commission-type)/82
2. 비독립단독형: 집행부형(부처형: executive-type)/84
3. 절충형/85
제4절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86
1. 중앙인사기관의 기능/86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과 기능과의 관계/88
제5절 주요 국가의 중앙인사기관 90
1. 미국의 중앙인사기관/90
2. 영국의 중앙인사기관/95
3. 일본의 중앙인사기관/98
제6절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101
1. 중앙인사기관의 변천과 기능/101
2. 중앙인사기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04
제7절 부처 인사기관 107
1. 중앙인사기관에 대한 도전/107
2.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상의 지위/108
3.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 형태/109
4. 한국 부처 인사기관의 특성과 발전 방안/111
제8절 지방자치단체 인사기관 112
1. 인사담당 부서/112
2. 인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13
3. 인사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18
4. 소청심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24
제3편 공직의 분류 체계 129
제4장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제1절 계급제 131
1. 계급제의 의의/131
2. 계급제의 특징/132
3. 주요 국가의 계급제/133
4. 계급제의 장·단점/134
제2절 직위분류제 136
1. 직위분류제의 의의와 발전/136
2. 직위분류제의 수립 절차/140
3. 직위분류제의 장·단점/155
4. 한국 정부의 직무분석/156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 및 조화 시도 160
1.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160
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미국과 영국의 경험/162
제5장 공무원의 구분 체계
제1절 공무원의 구분 기준 167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167
2. 직무나 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168
3. 근무 시간에 의한 구분/16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169
제2절 한국 공무원의 구분 169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170
2. 직무·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 경력직 공무원과특수경력직 공무원/171
3. 근무 시간에 의한 공무원 구분: 전일제 공무원과시간선택제 공무원/17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 정규직 공무원과임기제 공무원/179
제3절 고위공무원단 181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의의와 특징/181
2. 외국의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과 발달/183
3. 한국의 고위공무원단제도/186
제4편 인사행정의 활동 국면 199
제6장 인적자원계획
제1절 인적자원계획의 의의 201
제2절 인적자원계획의 중요성 202
제3절 인적자원계획 과정 203
1. 인적 자원 수요 예측 단계/204
2. 인적 자원 공급 대안 결정 단계/206
3. 시행 단계/207
4. 평가 단계/207
제7장 임용
제1절 임용의 의의 및 유형 209
1. 임용의 의의/209
2. 임용의 유형/210
제2절 외부임용(신규채용) 212
1. 외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12
2. 모집/216
3. 채용시험/222
4. 채용 후보자의 등록 및 채용후보자명부 작성/229
5. 임용 추천/229
6. 시보임용/230
7. 임명 및 보직/231
제3절 내부임용 231
1. 내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31
2. 수직적 이동/231
3. 수평적 이동/236
4. 해직 및 복직/239
5. 퇴직관리/242
제4절 공직의 개방 245
1. 개방형/245
2. 폐쇄형/246
3. 인사행정의 현실: 두 제도의 보완/247
4. 한국의 개방형 임용/247
제5절 한국의 인사교류 251
1. 인사교류의 종류/251
2. 운영과 평가/254
제11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 349
1. 보수의 의의/349
2. 공무원 보수의 특성과 보수제도 운영/351
3. 기본급에 대한 이론적 분류/353
4. 보수 수준 관리/362
5. 한국 공무원의 보수제도/365
6. 현행 공무원 보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70
제2절 연금 375
1. 연금의 의미와 목적/375
2. 한국 공무원연금제도의 연혁과주요 연금개혁 내용/378
3. 연금 적용 대상자/381
4. 연금재정의 확보와 관리/383
5. 연금급여의 종류/385
6. 연금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86
7.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관리혁신/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