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절 도시의 정의 19
1. 도시에 대한 정태적 정의 / 21
2. 도시에 대한 동태적 정의 / 23
3. 도시화(Urbanization)와 어바니즘(Urbanism) / 24
제2절 사회변화와 도시 27
1. 전 세계적인 사회변화 / 28
2. 사회변화 속의 도시 / 43
제1절 도시생태학 50
1. 공동체와 사회 / 51
2. 도시생태학의 내용 / 52
3. 도시생태학에 대한 비판과 재조명 / 57
제2절 도시주거지 상쇄모형 61
1. 상쇄모형의 내용 / 61
2. 상쇄모형의 발전 / 62
3. 상쇄모형에 대한 평가 / 64
제3절 후기현대도시론 64
1. 후기현대도시의 등장 / 64
2. 후기현대도시론의 주요 내용 / 73
3. 후기현대도시의 특징 / 84
제4절 세계도시론 88
1. 세계도시의 의미 / 89
2. 세계도시의 계층 / 92
3. 세계도시의 특징 / 94
제1절 Thompson의 도시성장단계모형 103
1. Thompson 모형의 핵심 내용 / 104
2. Thompson 모형에 대한 평가 / 105
제2절 Klaassen과 Paelinck의 도시발전단계모형 106
1. 도시화 단계 / 107
2. 교외화 단계 / 107
3. 역도시화 단계 / 108
4. 재도시화 단계 / 108
5. Klaassen과 Paelinck 모형에 대한 평가 / 109
제1절 도시의 성장 110
1. 도시의 성장 과정 / 110
2. 대도시의 형성과 역할 / 111
제2절 도시화(Urbanization) 113
1. 도시화의 개념과 원인 / 113
2. 도시화 단계에서의 도시지역의 변화 / 115
3. 도시화 단계에서의 도시문제와 주요 도시정책 / 116
제3절 교외화(Suburbanization) 125
1. 교외화의 개념과 원인 / 125
2. 교외화의 문제점 / 129
제4절 역도시화(Disurbanization) 136
1. 역도시화의 개념과 원인 / 136
2. 역도시화 단계에서의 도시지역의 변화와 도시문제 / 138
제5절 재도시화(Reurbanization) 139
1. 재도시화의 개념과 현상 / 139
2. 재도시화의 원인 / 142
3. 재도시화를 둘러싼 논쟁 / 152
제6절 한국의 도시화 과정 154
1. 시기별 한국의 도시화 과정 / 154
2. 한국 도시화의 특징 / 161
제1절 도시공간구조의 형성 요인 167
1. 경제적 요인 / 168
2. 사회적 요인 / 169
3. 정치ㆍ행정적 요인 / 170
4. 자연적ㆍ지리적 요인 / 170
5. 공공복리적 요인 / 171
6. 역사적ㆍ문화적 요인 / 171
제2절 도시 간의 공간구조 172
1. 중심지이론 / 173
2. 도시계층이론 / 176
제3절 도시 내의 공간구조 178
1. 동심원이론(concentric zone theory) / 179
2. 선형이론(sector theory) / 181
3. 다핵이론(multi-nuclei theory) / 183
제1절 도시의 적정 규모 185
1. 도시 적정 규모의 의의 / 185
2. 도시 적정 규모의 필요성 / 186
제2절 도시규모이론 188
1. 규모제한론(Limit to Size) / 188
2. 규모경제이론(Economies of Scale) / 189
3. 적정 규모의 사회학적 이론 / 191
4. 도시규모이론의 비판 / 191
제2부 도시행정
제1절 도시행정의 정의와 특징 195
1. 도시행정의 대두 / 195
2. 도시행정의 정의와 특징 / 197
제2절 도시행정의 주요 이론 202
1. 관료제이론(Bureaucracy Theory) / 202
2.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 NPM) / 206
3. 뉴거버넌스론(New Governance) / 210
4. 신공공서비스론(New Public Service) / 214
제1절 도시재생의 배경과 정의 243
1. 도시재생의 배경 / 243
2. 도시재생의 정의 / 245
제2절 외국의 도시재생정책 247
1. 미국의 도시재생정책 / 247
2. 영국의 도시재생정책 / 247
3. 일본의 도시재생정책 / 248
제3절 한국의 도시재생과정 248
제4절 한국의 도시재생 문제점 250
1. 정부의 기획ㆍ조정 기능 미비 / 250
2. 공동체 구축 간과 / 251
3. 물리적 주거환경 개선에 집중 / 253
4. 문화자산 무시 / 254
제5절 도시재생의 전략적 방향 254
1. 종합적ㆍ체계적 재생 계획 / 254
2. 공동체 구축 / 256
3. 주거기능 강화 / 259
4. 도시경제력 강화 / 262
5. 업무ㆍ상업 기능 강화 / 263
6. 역사ㆍ문화 자원 활용 / 264
7. 복합용도(Mixed Use) 시가지 형성 / 264
제1절 메가시티의 정의와 역할 267
1. 메가시티의 정의 / 267
2. 메가시티의 역할 / 269
3. 메가시티의 현황 / 271
제2절 주요 국가들의 메가시티 전략 272
1. 미국의 메가시티 전략 / 273
2. 영국의 메가시티 전략 / 273
3. 프랑스의 메가시티 전략 / 274
4. 일본의 메가시티 전략 / 274
제3절 한국의 메가시티 전략 275
1. 한국의 메가시티 전략의 현황 / 275
2. 한국의 메가시티 전략의 문제점 / 278
3. 한국의 메가시티 전략의 방향 / 280
제1절 도시마케팅의 정의와 등장 배경 366
1. 도시마케팅의 개념 정의 / 366
2. 도시마케팅의 등장 배경 / 368
제2절 도시마케팅의 목적과 효과 369
1. 도시마케팅의 목적 / 369
2. 도시마케팅에서의 지역정체성 / 372
3. 도시마케팅의 효과 / 373
제3절 도시마케팅 과정 374
제4절 한국의 도시마케팅 376
1. 한국의 도시마케팅 현황 / 376
2. 도시마케팅의 방향 / 378
제1절 도시경제정책의 의의 381
1. 도시경제정책의 중요성 / 381
2. 도시경제정책의 목표 / 382
제2절 포스트 포디즘사회의 주요 도시경제개발 이론 384
1. 유연생산체제 이론 / 385
2.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이론 / 386
제3절 주요 도시경제정책 389
1. 테크노폴리스(Technopolis) / 389
2. 비즈니스 인큐베이터(Business Incubator: BI) / 390
3. 엔터프라이즈 존(Enterprise Zone) / 391
4. 텔레포트(Teleport) / 392
5. 연구학원도시 / 393
6. 인텔리전트 시티(Intelligent City) / 393
7. 산업단지(Industry District) / 394
제1절 도시문화정책 396
1. 도시문화정책의 등장 배경 / 396
2. 도시문화정책의 중요성 / 398
3. 도시문화정책의 목표 / 398
제2절 도시문화정책의 내용 400
1. 문화적 경제 / 400
2. 경제적 문화 / 403
제3절 도시문화정책의 전략적 방안 406
1. 도시문화정책에서 유의점 / 406
2. 도시문화정책의 전략적 방향 / 408
제1절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정책 412
1. 도시환경 / 412
2.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정책의 개념 / 413
3.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정책의 필요성 / 414
제2절 기존 도시환경정책의 문제점 415
제3절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정책의 전략적 방안 417
1.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정책의 기본 방향 / 417
2.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정책의 전략적 방안 / 418
제1절 세계 네트워크와 연계 421
제2절 도시의 차별성ㆍ정체성 확보 422
1. 도시의 내재적 특성 강조 / 422
2. 도시의 정체성 확보 / 423
제3절 유연한 도시구조 구축 423
1. 유연한 정치ㆍ행정시스템 구축 / 423
2. 유연한 관리방식 도입 / 424
3. 유연한 생산방식 도입 / 424
제4절 총체적 협조체제 형성 424
제5절 인적 자원 육성 425
제6절 쾌적한 주거환경ㆍ산업환경 조성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