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이라는 단어는 문화 예술 역시 메카니컬한 속성을 갖고 있으며 새로운 재료가 발견되고 공법이 나오듯이 문화 예술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며 이 현상들은 관찰, 분석이 가능하다는 전제를 갖고 있다. 과학기술적 공학과 문화 공학 사이의 이런 유비적 상사성은 열이나 압력 혹은 구조 변형과 비유할 수 있는 요소들을 문화 예술에도 적용하도록 유도한다. 오늘날 운위되고 있는 빅 데이터가 나오기 이전에 저자는 이미 과학적, 공학적 관점에서 문화 예술을 보아야 한다고 인식을 한 것이다. 현장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이기에 저자의 이런 주장은 단순한 설득력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 책은 문화 예술이 문화 산업으로 변신을 한 오늘날 한국에서도 참고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경영학에도 이른바 할리우드 경영학이라고 불리는 문화 산업 경영학이 있다. 하지만 아직 한국은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미진 한 것 같다. 한국은 아직도 3차 산업, 그 중에서도 문화 산업의 비중이 선진국들에 비해 많이 뒤쳐진다. 프랑스가 78%인 반면 한국 산업 구조에서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채 50%가 안 된다. 지식산업, 혹은 콘텐츠 산업이 한류 열풍에도 불구하고 아직 산업화 단계에 진입하지 못한 것이다. 자세한 진단이 뒤따라야 하겠지만, 원인들 중 하나로 문화를 공학적 관점에서 좀 더 심도 있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분위기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Contents
서론 문화 엔지니어링, 정의와 기원
1부 문화 공학의 구조
1장 문화 시스템
I. 문화 시스템의 주동자들과 작동 원리
1. 네 작동 주체들의 상호 작용?
2. 예술 시스템과 문화 시스템?
3. 문화 시스템의 원리들
II. 문화 시스템의 역사
1. 강베타 시스템?
2. 말로 시스템?
3. 랑 시스템?
4. 랑 이후?
2장 혼합 문화 경제학
I. 국가의 역할: 문화 정책?
1. 국가의 몫?
2. 국가 역할의 윤리와 규범?
3. 지원 주체로서의 국가?
4. 지원 주체인 국가의 평형추: 탈중앙집권화
II. 문화 시장의 역할?
1. 차분한 시장?
?2. 확장하는 문화 시장
3. 연약한 시장?
?4. 새로운 시장들
2부 문화 공학의 필요성과 적용 분야
3장 문화 공학의 방법론
I. 문화 데이터에 대한 지식?
1. 국가의 문화 예산?
2. 문화 대중들?
3. 문화 정책들?
4. 문화 고용?
II. 문화 공학의 도구들?
1. 최적의 솔루션?
?2. 비용 통제?
?3. 생산 주기 엄수
4. 목표 설정??
?5. 프로그램들의 실행?
?6. 재정 조달?
7. 프로젝트들의 기술적, 예술적 실행?
III. 오퍼레이터들
1. 문화 공학 엔지니어들?
?2. 문화 공학 기업들?
4장 문화 공학의 적용 분야
I. 문화 기업 운영?
1. 문화 기업이란 무엇인가?
?2. 문화 기업의 형태들?
3. 운영 방식들?
II. 문화시설에 대한 문화 공학?
1. 문화시설 구분?
?2. 다양한 문화시설들?
3. 문화시설의 운영?
?4. 문화시설의 이용자들?
III. 이벤트 문화 공학?
1. 최근의 개발 상황?
2. 문화 이벤트, 무대 연출, 박물관 전시?
3. 문화 이벤트의 유형들?
4. 문화 홍보?
결론 문화의 양대 축, 지구(地區) 문화 개발과 문화 예술 교육
Author
클로드 몰라르,정장진
국립행정학교(ENA)출신으로 회계감사원에서(2004-2010) 참사로 일했다. 프랑스 문화 정책과 예산 책정 전문가이자 문화공학자로 현재는 중동 연구소인 아랍세계연구소Institut du monde arabe 소장의 문화자문역으로 재직 중이다. 작가, 사진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립행정학교(ENA)출신으로 회계감사원에서(2004-2010) 참사로 일했다. 프랑스 문화 정책과 예산 책정 전문가이자 문화공학자로 현재는 중동 연구소인 아랍세계연구소Institut du monde arabe 소장의 문화자문역으로 재직 중이다. 작가, 사진가로도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