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담론의 논리와 지향

비판이론의 탐색
$43.09
SKU
978897641925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2/25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88976419255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동아시아 발 비판이론의 모색이라는 큰 주제를 네 가지 세부적인 주제로 나누어 토론을 시도했다. 이것들은 각각 독립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의 연결선을 달리고 있다. 서론의 언급대로 본서는 지식의 무경계, 탈공간적 적용에 공감하고 있다. 첫째, 근대의 계몽기획과 탈근대적 문제의식을 접목한 이중과제를 비판의 준거로 삼기위한 근거를 칸트와 하버마스의 사유에서 찾아본다. 실제로 본서가 인용한 비판이론가들은 양자의 철학에서 심대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주변부시각에서 진단한 동아시아적 상황을 참조하여 강조했던 인문학적인 개념들의 유효성을 따져보고, 대표적으로 수평주의적 사고를 비판이론의 논리로 전환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토론해 본다. 셋째, 주변부 시각에서 동아시아 소수자문제를 초국적 정의론을 자원으로 삼아 조망해 본다. 넷째, 서구의 신비판이론의 개념을 참조하면서 동아시아담론이 제시하는 논지를 동아시아의 정당한 지배를 위한 비판의 준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전망해 본다.
Contents
제1장 논의를 시작하면서

제2장 동아시아 담론의 논리

1. 미완의 근대와 탈근대적 문제의식
2. ‘동아시아’의 함의-저항의 서사에서 유연한 의식공간으로
3. 시민-지식인의 협력적 관계망과 공론장
4. 주변부와 중심부 시각의 차이
5. 동아시아 담론에 대한 비판론

제3장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비판사조의 종합과 인문학적 상상

1. 문제의 제기
2. 비판사조의 생성과 발전
3. 21세기 동아시아 담론-비판사조와 인문학적 상상의 결합
4. 주변부시각의 동아시아-소수자의 역사와 소국주의론
5. 동아시아 지역연대의 논리-공동체 vs. 관계망
6. 동아시아 담론에 대한 비판론
7. 비판론에 대한 토론-미완의 과제

제4장 대만의 동아시아상상―탈제국·탈식민·탈냉전과 소국주의상상

1. 문제의 제기
2. 소수자의 유동하는 정체성
3. 비판적 지식인의 국족주의정치 비판
4. 비판논리와 동아시아 담론의 접목
5.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상상
6. 대만과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비판이론의 출발선

제5장 일본의 동아시아사고―탈아와 흥아의 이중변주

1. 문제의 제기
2. 근대성과 근대화의 부조화와 분절의 인식론
3. 탈아와 흥아의 이중변주의 생성
4. 이중변주의 합성-대동아공영권이념과 좌담회의 논리
5. 초기 동아시아사고에 대한 비판(메이지-태평양전쟁)
6. 다케우치 요시미의 동아시아론 - 역 사 의 구 조 와 현상의 분리기획
7. 야마무로 신이치-다즉일多卽一·일즉다一卽多
8. 요네타니 마사후미-‘포스트동아시아’론
9. 동아시아공동체론-현실과 이상
10. 분절적 조망과 분리기제 비판-서구 근대에 편승하기와 떠넘기기
11. 반일사조의 창조적 전환과 소일본주의

제6장 중국의 동아시아사고―범아론과 중국식 보편주의구상

1. 문제의 제기-거대한 전환과 담론패권의 이동
2. 범아론의 생성과 특성
3. 근대 초기 지도자들의 아시아사고
4. 왕후이의 반동아시아의 동아시아사고
5. 트랜스시스템사회론-동아시아 보편주의역사론
6. 트랜스시스템사회론 비판-동아시아 주변부의 시각
7. 동아시아 주변부 역사의 복원
8. 쑨거의 동아시아사고-가치와 현상의 분리
9. 동아시아공동체구상-기능주의와 문화주의
10. 지적인 상상과 현실주의의 기로에 선 중국의 동아시아사고

제7장 동아시아발 비판이론의 모색

1. 비판적 사유의 출발선
2. 인문학적 상상vision과 수평주의사고
3. 세 도시 이야기-소수자 문제와 초국적 정의론
4. 세계시민주의적 시각
Author
고성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