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 이래 서구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문제제기와 문제해결의 끊임없는 반복 속에서 학문의 논리를 개발하여 왔다. 질문은 철학과 사상의 기초 그 자체였다. 그러나 서구 철학자들은 역사적으로 질문보다는 대답을 우선시하였고 질문을 준비 단계 또는 비본질적 영역으로 치부하였다. 그 결과 서구 철학에서는 철학적 담론들이 물음과 대답, 달리 표현하여 문제와 해결의 역동적 과정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이 간과되었고 오직 물음 또는 문제의 결과에 해당하는 명제들만이 철학의 성찰 대상이 되었다. 서구 철학사의 이 같은 오류를 비판한 메이에르는 언어와 추론에 있어서 질문의 역할 내지 관여성relevance을 강조하며 대답보다는 질문을 이성의 기초로 삼기를 주장한다.
Contents
서론 문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의미의 고전적 이해와 그 난관들
문학 부문에서의 의미
방어의 논거들
언어의 명제 이론과 그 의미론적 영향 전개
: 의미의 제록스 이론
맥락의 역할
제2장 의미의 일반적 이해를 위하여
대체 이론의 타당성
언어의 제문적 이해
지시 관계의 제문적 이론
지시 관계의 제문적 이론은 "판단이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물음에 어떻게 답하는가?
지시 관계와 언급
지시 관계와 의미
대체에서 물음들로
의미는 진정 대체인가?
결론
제3장 텍스트성의 수사학
텍스트의 의미는 수사적이다
수사학과 논증
왜 수사학(논증)은 제문적으로 개념 체계를 구성해야
하는 것일까?
문학 담론 대 비문학 담론
문학이란 무엇인가?
제4장 관념에서 이데올로기로
관념의 성격
플라톤의 이론에서 관념과 물음
관념과 정치적 이데올로기
(엄밀한 뜻에서의) 이데올로기의 논리
이데올로기적·수사적 논리의 공리
제5장 문학성의 본성
관념과 텍스트성
문학과 정치 이데올로기
픽션과 변증법
픽션과 현실
문제제기적 차이를 구체화하는 수단으로서의 문학 형식들
소설의 탄생
결론
제6장 해석 과정
전통과 생략을 넘어서
그대로 답하기의 고려 혹은 의미의 발견
해석학적 물음과 그 대답
시학과 해석학의 교차점으로서의 텍스트성
텍스트가 대답하는 물음들을 어디에서 찾는가?
텍스트적 변증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