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이 저술한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향연]이라는 세 가지 작품을 번역하고 해설한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은 신성을 모독하고 젊은이들을 타락시킨다는 죄목으로 고발당한 소크라테스가 법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변론하고, [크리톤]은 탈옥하여 망명하라는 크리톤의 권유를 소크라테스가 거부하는 이유를 제시하며, [향연]은 소크라테스가 지인들과 함께 ‘에로스(사랑)’에 대한 견해를 교환한다. 이 책은 그리스어 원전을 세심하게 번역하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차례 윤색을 가했다. 소크라테스의 인생 여정과 삶의 태도를 진솔하게 보여주는 이 작품들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삶을 돌아볼 기회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고전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와 가치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역해자 서문 05
일러두기 11
제Ⅰ부 소크라테스의 변론
Ⅰ. 소크라테스의 변론 (17A-34C) 15
Ⅰ.1. 변론의 어투보다 진실성에 관심을 가져주길 요청하는 소크라테스 (17A-18A) 15
Ⅰ.2 두 종류의 고발과 변론의 어려움 (18A-19A) 16
Ⅰ.3 기소장의 내용 (19A-20C) 18
Ⅰ.4 소크라테스에 대한 편견이 생겨난 이유 (20C-24C) 21
Ⅰ.5 구체적인 기소 내용 (24C-28D) 28
Ⅰ.6 어떤 경우에도 진리의 추구를 중단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소크라테스 (28D-30C) 37
Ⅰ.7 말 등의 등에처럼 자신이 국가의 등에라고 주장하는 소크라테스 (30C-31C) 40
Ⅰ.8 소크라테스가 사적인 삶을 살았던 이유 (31C-32E) 42
Ⅰ.9 젊은 사람들이 소크라테스를 따르는 이유 (32E-34C) 44
Ⅱ. 소크라테스에 대한 판결과 그의 마지막 변론 (34C-42A) 47
Ⅱ.1 정당하게 판결을 받겠다고 다짐하는 소크라테스 (34C-35D) 47
Ⅱ.2 판결에 대한 소감을 피력하고 벌금형을 제안하는 소크라테스 (35E-38C) 49
Ⅱ.3 소크라테스의 최후 진술 (38C-42A) 53
제Ⅱ부 크리톤(또는 윤리적 의무에 관하여)
Ⅰ. 감옥에 있는 소크라테스를 방문한 크리톤 (43A-44B) 63
Ⅰ.1 단잠을 자고 있는 소크라테스 (43A-43C) 63
Ⅰ.2 델로스에서 도착한 배 (43C-44B) 64
Ⅱ. 소크라테스에게 탈옥을 권하는 크리톤 (44B-46A) 65
Ⅱ.1 소크라테스가 탈옥해야 하는 이유 (1) (44B-45C) 65
Ⅱ.2 소크라테스가 탈옥해야 하는 이유 (2) (45C-46A) 67
Ⅲ.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탈옥의 부당성 (46B-49E) 69
Ⅲ.1 전문가의 의견과 다수의 의견 (46B-48B) 69
Ⅲ.2 정당한 행동과 부당한 행동 (48B-49E) 72
Ⅳ. 국가와 법률 (49E-54E) 76
Ⅳ.1 국가와 법률에 대한 존경과 복종 (49E-51C) 76
Ⅳ.2 국가와 법률에 대한 약속 (51C-52D) 78
Ⅳ.3 탈옥한 뒤에 생기는 일들 (52E-54E) 81
제Ⅲ부 향연(또는 에로스에 관하여)
Ⅰ. 아가톤의 연회에 초대받은 소크라테스 (172A-176A) 87
Ⅰ.1 아폴로도로스와 한 친구의 만남 (172A-173E) 87
Ⅰ.2 아가톤의 연회로 향하는 아리스토데모스와 소크라테스 (174A-E) 90
Ⅰ.3 아가톤의 집에 도착한 아리스토데모스와 문밖에서 사색에 잠겨 있는 소크라테스
(174E-176A) 92
Ⅱ. 연회의 이야깃거리가 된 에로스 (176A-212C) 96
Ⅱ.1 음주 대신에 대화를 나눌 것을 제안하는 파위사니아스 (176A-E) 96
Ⅱ.2 에로스에 대해 이야기할 것을 제안하는 에뤽쉬마코스 (177A-178A) 98
Ⅱ.3 파이드로스의 이야기 (178A-180C) 99
Ⅱ.4 파위사니아스의 이야기 (180C-185C) 103
Ⅱ.5 에릭쉬마코스의 이야기 (185C-194E) 112
Ⅱ.6 아리스토파네스의 이야기 (188C-194E) 117
Ⅱ.7 아가톤의 이야기 (194E-201D) 126
Ⅱ.8 소크라테스의 이야기 (199B-212C) 134
Ⅲ. 소크라테스에 대한 알키비아데스의 일방적인 사랑 (212C-223D) 162
Ⅲ.1 자신의 사랑을 받아주지 않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원망 (212C-219E) 162
Ⅲ.2 델리온 전투에서 목격한 소크라테스의 모습 (220A-223A) 176
Ⅲ.3 에필로그: 일상으로 돌아간 소크라테스 (223B-D) 182
제Ⅳ부 작품해설
1. 플라톤의 생애 187
2. 플라톤 저술의 특징과 집필 시기 191
3. 작품의 내용 분석 195
3.1 『소크라테스의 변론』 196
3.2 『크리톤』 212
3.3 『향연』 219
참고문헌 239
플라톤 연보 245
Author
플라톤,유원기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