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사상과 새로운 노동관

$18.14
SKU
978897585522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08/31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75855221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동양사상 속에 담긴 새로운 노동관을 찾아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그동안 우리가 접해온 노동법과 노동관은 서양철학에 근거하여 만들어졌던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우리는 동양문화권에 속한 나라이고 그렇기에 우리의 정신적 근간에는 동양사상에 바탕을 둔 노동관이 존재하고 있어 문화적인 가치와 현실에 적용되고 있는 노동관 사이에 괴리를 느껴왔다. 이에 대해 이 책은 왜 동양사상에서 새로운 노동관을 찾아야하늕지, 또 동양사상에 근거한 노동관은 어떤 모습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동양사상적 노동관의 탈현대적 합의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동양사상 속에 담긴 새로운 노동관 찾기
1. 왜 새로운 노동관을 찾아야 하는가
2. 왜 동양사상에서 새로운 노동관을 찾고자 하는가
3. 동양사상에 바탕 한 새로운 노동관은 어떤 것인가
4. 새로운 노동관의 탈현대적 합의는 무엇인가

근대적 노동관과 새로운 사회구조의 충돌
1. 서론 : '노동의 종말' 가능성에 대하여
2. 노동 개념 내부의 긴장관계
3. 노동에 대한 주관적 태도
4. 새로운 사회구조의 출현(?) : 소결론

한국 유학의 노동관과 탈현대적 함의
- 이황과 실학자들 간 비교를 중심으로 -
1. 여는 글
2. 이황의 '일'로서 공부와 교육
3. 실학자들의 '일'로서 공부
4. 맺는 글

공자의 경제사상과 노동관
1. 춘추시대의 사회질서
2. 공자의 경제사상
3. 공자의 노동관
4. 공자의 경제사상과 노동관의 현대적 함의

한국불교 노동관의 탈현대적 함의
- 반농반선운동에 나타난 노동관을 중심으로 -
1. 서론
2, 반농반선운동의 전사: 노동-수행 관계와 그 전개
3. 반농반선운동의 경험적 사례
4. 반농반선노동관의 탈현대적 함의
5. 결론

한국 유학에서의 수행노동과 실행여가
1. 두 가지 노동
2. 노동의 종말과 대안의 모색
3. 깨어있는 일상으로서의 수행 노동
4. 여가로서의 낙도
5. 사지 노동의 복원
Author
홍승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