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촌개발과 국제개발

동계(洞契)와 새마을 운동 그리고 공적개발원조(ODA)
$34.50
SKU
978897581853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05
Pages/Weight/Size 159*232*24mm
ISBN 978897581853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인문학적 관점으로 한국의 전통 농촌에서부터 현대 농촌개발에 이르는 흐름을 추적

국제개발학, 혹은 개발학은 한국에 있어 특별한 의미가 있다. 7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상징되는 농촌개발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농촌개발을 국제개발과 연계하고, 나아가 조선시대 토착 한국 농촌의 특징과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조선시대 농촌공동체의 호혜와 협동의 경험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70년대 새마을의 궤적에 대한 추적과 함께 21세기 국제개발 시장에서 대한민국의 역할에 대한 평가와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한 모색까지 유기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Contents
서론
연구성과
연구방법

1장 조선시대 토착 농촌의 가치

1. 마을의 가치와 개발 그리고 계
무형과 유형의 가치를 담는 마을개발
마을 주민의 결속과 협동, 족계
2. 마을 공유자산 개발과 동계
국당리 동계의 상부상조
방어리 사계와 동계 개발
갓뒤마을의 말림갓 개발과 동계

2장 농촌개발 운동의 신화, 새마을 운동

1. 농촌개발 운동의 궤적과 성취
2. 마을 가꾸기와 새마을 운동
토착 마을과 집성촌
마을 가꾸기 운동과 마을 협동
새마을 운동과 마을개발
새마을 운동 신화의 발견
3. 농촌개발 모델로서 새마을 운동
국제개발로서 새마을 운동 평가
새마을 농촌개발 프로그램 성격과 과제

3장 농촌개발 현장과 새마을 농촌개발

1. 동남아시아, 베트남의 새 농촌 운동
중점 협력국과 농촌개발
토착 농촌과 협동 가치
베트남 농촌개발, 새 농촌 운동
2.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새마을 농촌개발
중점 협력국과 개발원조
에티오피아 공적원조와 농촌개발
농촌개발과 새마을 시범마을
시범마을과 토착지식
3. 남미, 페루와 에콰도르의 마을개발
남미의 농촌개발
페루의 농촌개발정책과 새마을
에콰도르 농촌개발정책과 새마을

4장 탈-개발 이론과 개발, 그리고 농촌개발

1.‘개발’의 본질과 이론
2. 탈-개발의 도전 요소와 개발 논쟁
탈-개발의 가치와 개발 요소
탈-개발 개념의 한계와 반론
개발 대안으로서 개발
3. 탈-개발과 상생 그리고 새마을 농촌개발
토착지식과 상생의 가치
대안으로서 새마을 농촌개발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Author
정수환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박사 통합과정을 마쳤다. 2007년 「17世紀 銅錢流通의 政策과 實態」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 University of Bristol(UK)에서 International Development로 M.Sc.를 취득했다. 홍익대학교, 청운대학교, 경기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고문서를 발굴하여 조선시대 경제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조선의 사회변동 및 사상 추이와 경제생활 변화의 연계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조신시대 토착 농촌 공동체의 다양성에 대한 추적을 바탕으로 현대 농촌을 국제개발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저서는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명문가, 그 깊은 역사』(공저), 『도산서원』(공저) 등이 있다.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박사 통합과정을 마쳤다. 2007년 「17世紀 銅錢流通의 政策과 實態」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 University of Bristol(UK)에서 International Development로 M.Sc.를 취득했다. 홍익대학교, 청운대학교, 경기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고문서를 발굴하여 조선시대 경제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조선의 사회변동 및 사상 추이와 경제생활 변화의 연계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조신시대 토착 농촌 공동체의 다양성에 대한 추적을 바탕으로 현대 농촌을 국제개발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저서는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명문가, 그 깊은 역사』(공저), 『도산서원』(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