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카파에 의해 쓰여진 『깨달음에 이르는 길』은 티베트에서 기록된 붓다의 사상과 수행에 대한 가장 유명한 책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알려진 불후의 명작 중 하나이다. 또한 부처님의 가르침과 인간의 본성을 놀랄만할 정도로 자세히 분석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의 원본인 티베트본은 8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한국어판은 독자들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영역본을 참조하여 1장에서 7장까지의 내용을 66단락으로 나누고 소제목을 부여하였다.
Contents
1.가르침의 예비수행
아티샤
위대한 가르침
가르침을 설하고 듣는 방법
2.스승이 제자들을 이끄는 단계
스승에게 귀의함
수행의 규칙
잘못된 수행법의 교정
수행의 여유와 기회
사람의 세 가지 유형
3.하사부를 위한 길의 단계
죽음에 대한 생각
내생에의 귀의
삼보에 귀의함
귀의처의 계율
업의 특성
업의 종류
선업을 닦음
하사부의 마음가짐
4.중사부를 위한 길의 단계
팔고八苦
고의 여섯 가지 유형
고에 대한 사유
고의 근원
십이연기十二緣起
중사부의 마음가짐
해탈로 나아가는 길
삼학
5.상사부를 위한 수행 단계
상사부를 위한 길의 단계
자비
일곱 가지 인과
자신과 타인의 교환
의궤를 통한 보리심의 실현
보리심의 보전
육바라밀
대승의 수행.계율.육바라밀
보시 바라밀
보시의 방법
지계 바라밀
인욕 바라밀
정진 바라밀
선정과 지혜 바라밀
사섭법
6.상사도 단계에서의 지止 수행법
지와 관
지 수행법
마음의 집중
침도沈掉
지의 완성
지의 다음단계
7.상사도 수행단계에서의 관觀 수행법
관의 필요성
관의 근원
진실성
부정할 대상의 바른 이해
연기와 공성
추론 분석
타당성 입증
세속제
생의 부정과 공
부정의 논리
부정의 대상
자립 논증파와 귀류 논증파의 구별에 대한 오해
자립 논증파와 귀류 논증파의 구별에 대한 오해의 반박
자립 논증파와 귀류 논증파에 대한 수행자의 해석
자립 논증파에 대한 비판
수레의 정의
보특가라
무자성無自性
관의 분석
지와 관의 통합
요약과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