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얼구나 강의 오른쪽

$15.98
SKU
978897527621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7/15
Pages/Weight/Size 128*188*30mm
ISBN 9788975276217
Categories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Description
중국 문학의 금기를 넘어선 환상적인 이야기꾼, 츠쯔졘의 대표작
최고 권위의 ‘마오둔 문학상(제7회)’ 수상작


츠쯔졘은 중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 중에서도 가장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한 작가로 손꼽힌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섬세한 어휘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뿜어내는 그녀는 중국을 넘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어얼구나 강의 오른쪽』은 츠쯔졘이 30여 년의 창작활동 동안 4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며 축적해온 작가의 역량이 응집된 대표작이다. 인간에 대한 웅숭깊은 관점과 사상은 통찰력이 더해져 농밀한 언어로 비극적이지만, 따뜻하고 조화로운 삶과 세계를 구현해냈다. 츠쯔졘은 이 작품으로 중국 문학의 최고 영예로 손꼽히는 ‘마오둔 문학상(제7회)’을 수상했다.

『어얼구나 강의 오른쪽』은 내몽고 소수민족인 어원커 부족이 100년이라는 세월과 함께 온갖 파고를 헤쳐 나온 삶에 관한 이야기다. 이들은 중국과 러시아의 힘에 눌려 두 나라의 경계인 어얼구나 강의 왼쪽까지 쫓겨 그곳에서 20세기를 맞이한다

작가는 문명인의 관점에서는 쉽게 납득할 수 없는 신비하고 놀라운 삶을 이야기한다. 흥미진진하면서도 역동적인 이야기는 소설이 매듭될 때까지 독자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작가는 이야기에만 치중하지 않는다. 소설의 화자인 ‘나’의 입을 빌려 섬세하고 내밀한 언어로, 문명 반대편에 선 유목민의 사유방식과 그 속에 깃든 절망과 환희를 조망한다. ‘미개부족’과 현대문명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어얼구나 강의 오른쪽』은 풀기 어려운 문제에 은유적으로 답변을 들려준다.
Contents
새벽/ 정오/ 황혼/ 에필로그/ 옮긴이의 글
Author
츠쯔졘,김윤진
1964년 헤이룽장(黑龍江) 성 모허(漠河) 출생이다. ‘루쉰문학상’, ‘빙신(氷心)산문상’, ‘좡중원(壯重文)문학상’ 등 권위 있는 문학상을 두루 수상하며 중국의 대표작가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루쉰문학상’을 세 번이나 수상한 유일무이한 작가이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주관하는 ‘제임스 조이스 창작기금’의 수혜 작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1983년부터 지금까지 40여 편이 넘는 작품을 발표하며 꾸준히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소수 민족의 삶을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는 그녀는 ‘대담하고 놀라운 중국의 이야기꾼’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어얼구나 강의 오른쪽』은 중국 최고의 영예로 손꼽히는 ‘마오둔(茅盾) 문학상’(제7회)을 수상한 작품이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에 비견되는 이 작품은 다른 문명의 생태에 대한 존중과 따뜻한 인간미를 그려내고 있다.
1964년 헤이룽장(黑龍江) 성 모허(漠河) 출생이다. ‘루쉰문학상’, ‘빙신(氷心)산문상’, ‘좡중원(壯重文)문학상’ 등 권위 있는 문학상을 두루 수상하며 중국의 대표작가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루쉰문학상’을 세 번이나 수상한 유일무이한 작가이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주관하는 ‘제임스 조이스 창작기금’의 수혜 작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1983년부터 지금까지 40여 편이 넘는 작품을 발표하며 꾸준히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소수 민족의 삶을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는 그녀는 ‘대담하고 놀라운 중국의 이야기꾼’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어얼구나 강의 오른쪽』은 중국 최고의 영예로 손꼽히는 ‘마오둔(茅盾) 문학상’(제7회)을 수상한 작품이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에 비견되는 이 작품은 다른 문명의 생태에 대한 존중과 따뜻한 인간미를 그려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