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불교

붓다의 원음
$19.55
SKU
97889747995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12
Pages/Weight/Size 152*225*15mm
ISBN 9788974799540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붓다의 원음,

모든 불교의 뿌리,

‘근본불교’를 말하다




저자 이중표 명예교수는 ‘근본불교(Fundamental Buddhism)’와 대승불교의 연결고리를 연구해 온 한국 불교학계의 석학이다. 대승불교 전통인 한국에서 『아함경(阿含經)』, 『니까야(Nik?ya)』가 소승, 남방불교 경전으로 치부되어 주목받지 못하던 시기부터 그는 이 분야 연구에 매진해 왔다. 이유는 명쾌하다. 『아함경』과 『니까야』를 모든 불교의 뿌리인 ‘근본불교’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불교 최초기, 붓다의 원음이 가장 잘 간직된 근본경전 『아함경』, 『니까야』의 바른 이해는 곧 대승불교의 바른 이해로 이어진다. 대승불교 전통인 한국에서 이 분야가 더욱 연구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때 ‘원시불교’, 또는 ‘초기불교’라고도 불렸던 이 분야에 관해서 이중표 명예교수는 분명히 말한다. “근본경전을 통해 전승되는 붓다의 가르침을 모든 불교의 근본이라는 의미에서 ‘근본불교’라고 불러야 한다.”



저자의 바람대로 이 책 『근본불교』는 불교의 원류를 찾아가는 길을 제시한다. 중도(中道)·연기(緣起)·열반(涅槃) 등 불교 핵심 교리를 왜곡 없이 붓다의 원음으로 통찰할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

1장_근본불교란 무엇인가

1 근본불교는 소승불교가 아니다

2장_근본불교의 이해를 위한 기초

1 불교의 목적
2 인간의 근원적 괴로움
3 불교의 진리-4성제(四聖諦)
4 올바른 세계관-정견(正見)
5 붓다의 침묵과 중도(中道)

3장_붓다 당시의 사회와 사상

1 당시의 인도 사회
2 육사외도(六師外道)의 사상
3 자이나교의 사상

4장_근본불교의 중도설(中道說)

1 사견의 근원과 멸진
2 자작타작중도(自作他作中道)
3 단상중도(斷常中道)
4 일이중도(一異中道)
5 유무중도(有無中道)
6 고락중도(苦樂中道)
7 수정주의(修定主義)와 8정도(八正道)

5장_업설(業說)과 연기설(緣起說)

1 업보(業報)와 연기(緣起)
2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
3 무아(無我)와 업보(業報)
4 중생의 세계
5 업설(業說)과 연기설(緣起說)
6 삼종외도(三種外道) 비판
7 업보(業報)와 마음

6장_12입처(十二入處)

1 참된 나
2 거짓된 나
3 6입처(六入處)와 6근(六根)
4 6입처(六入處)와 6근(六根)의 관계

7장_18계(十八界)

1 18계(十八界)와 촉(觸)의 발생
2 식(識)과 명색(名色)
3 18계(十八界)와 6계(六界)

8장_5온(五蘊)

1 근본불교의 존재론적 입장
2 5온(五蘊)의 근원
3 5온(五蘊)의 발생과 성립
4 5온(五蘊)의 의미

9장_12연기(十二緣起)와 4성제(四聖諦)

1 유전문(流轉門)과 5온(五蘊)
2 환멸문(還滅門)과 8정도(八正道)
3 연기(緣起)의 의미

10장_열반(涅槃)의 세계

1 법(法)과 법계(法界)의 의미
2 중생의 5취온(五取蘊)과 여래의 5분법신(五分法身)
3 3독심(三毒心)과 보리심(菩提心)
4 무아(無我)와 열반(涅槃)
Author
이중표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 후 동 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위촉됐다.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 범한철학회 회장,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 신행 단체인 ‘붓다나라’를 설립하여 포교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맛지마 니까야』, 『붓다의 철학』,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불교란 무엇인가』,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외 여러 책이 있으며, 역서로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불교와 양자역학』 등이 있다.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 후 동 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위촉됐다.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 범한철학회 회장,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 신행 단체인 ‘붓다나라’를 설립하여 포교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맛지마 니까야』, 『붓다의 철학』,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불교란 무엇인가』,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외 여러 책이 있으며, 역서로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불교와 양자역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