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주아 혁명과 모든 혁명의 모범이 된 ‘프랑스 대혁명’
방대한 프랑스 혁명사를 읽기 쉽고 간결하게 정리한 책!
마르크스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프랑스 혁명사
일본에서 오랫동안 주목받았던 ‘스테디셀러’로, 민중이 바스티유를 공격하기 2년 전인 1787년부터 나폴레옹이 실권자로 등장하는 1799년까지 10여 년간의 프랑스 혁명을 간결하게 정리한 책이다. 방대한 프랑스 혁명사를 알고자 하는 입문자들에게 안성맞춤인 책이다. 많은 사건이나 인물을 늘어놓기만 하는 많은 프랑스 혁명 책들과 달리, 이 책에서 가와노 겐지는 “현재 살아 있는 사람으로서 과거의 경험이나 사실에 제각각의 중요도를 부여하고, 취사선택을 하고, 관련 상황을 따져보려고 시도”한다. 가와노는 이를 위해 사회과학의 힘을 빌려 “서술을 줄이고 사색을 많이 하는” 방식으로 프랑스 혁명사를 들려준다. 사회과학이야말로 역사를 풀어가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며, “모든 사건이 꼭 같은 중요성을 지니고, 모든 인물이 꼭 같은 의미를 지니며, 모든 법률이나 제도가 사회의 진로에 꼭 같은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프랑스 혁명 연구자 톰슨)이다.
가와노 겐지는 또한 “프랑스 혁명도 인간이 일으킨 혁명이다. 프랑스 혁명을 이상화한 나머지 이따금 볼 수 없는 것을 이 혁명 속에서 보거나, 반대로 봐야 할 것을 보지 못한 경우가 있다. 그런 편견에서 벗어나 나는 이 혁명을 인간이 일으킨 인간다운 혁명으로 다시 봐야 한다”고 말하며, “이 혁명은 인간의 강점과 약점, 아름다움과 추함을 동시에 지닌 것이고, 또 바로 그 때문에 모범적인 혁명으로 평가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왜 프랑스 혁명이 부르주아 혁명의 대표이자 모범일까?
가와노 겐지는 “혁명은 민족이 역사에 떠밀려가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 자립성을 선명하게 역사 속에 확립하는 작업”이며, 1789년부터 10년간은 혁명을 경험한 프랑스인이 세계사의 주역을 담당한 시기라고 말한다. 프랑스는 이 혁명을 통해 활기를 되찾고 한층 더 번영했다. 그렇다면 프랑스 혁명이란 무엇인가? 민중은 어떻게 군주정과 신분제와 기독교를 무너뜨릴 수 있었을까? 새로운 사회의 내용은 어떤 것이었던가? 이 책은 지금까지 끊임없이 지속되어온 이런 물음과 궁금증을 해결해준다.
가와노는 영국인이라는 국민성과 상류계급이라는 특수한 계층의 틀을 벗어나지 않은 17세기 영국의 청교도 혁명(1640~1660)과, 영국 식민지배를 거부한 민족혁명적 성격이 강하지만 인종과 계급문제를 비켜간 미국 독립혁명(1775~1783)과 달리, 프랑스 혁명은 자유와 동시에 평등을 실현한, 모든 개인과 민족, 인종 장벽을 넘어선 진정한 ‘부르주아 혁명’(봉건제를 폐지하고 인권과 자유를 쟁취해서 부르주아지의 지배를 실현하기 위한 혁명)이라 평가한다. 게다가 부르주아적 한계마저 넘어서려 했던 민중(인민) 주체 보편혁명이며, 그래서 프랑스 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의 모범이라 부른다.
프랑스 혁명은 곧 ‘민중의 혁명’!
프랑스 혁명은 왜 보편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됐을까? 그 근본 이유를 가와노는 프랑스에서의 정치투쟁이 명백한 계급투쟁으로 전개됐던 점에 있다고 본다. 프랑스에서는 여러 계급의 이해관계가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분명히 구별되고, 각 계급들이 많든 적든 독자적으로 결집돼 각기 사상을 달리하면서 서로 격렬하고 첨예한 싸움을 전개했다. 엥겔스는 이를 두고 “프랑스는 계급투쟁이 철저히 관철된 나라”라고 말했다. 철저한 계급투쟁은 사회 구석구석까지 영향을 끼쳐, 마침내 그 저변에 있는 이름도 없는 서민들 한 사람 한 사람을 혁명 속으로 끌어들였던 것이다.
가와노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프랑스 혁명을 특징짓는 말은 ‘민중의 혁명’이라고 말한다. 이 혁명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을 고무시키고, 또는 사람들을 두려워하게 만드는 힘을 갖고 있는 것은 광범한 민중이 혁명에 참가해 혁명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던 사실과 깊이 연관돼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국 가와노는 그 당시의 역사적 시점에서 혁명은 부르주아 혁명이어야 했으며, 프랑스 혁명은 가장 철저한, 급진적인 부르주아 혁명이며, 혁명의 모범이라고 평가한다. 그래서 지구의 모든 민족과 민중이 ‘자유, 평등, 우애’를 위한 싸움을 멈추지 않는 한 프랑스 혁명은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라 말한다.
프랑스 혁명은 어떤 계기로 일어났을까?
이 책은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전의 배경과 계기를 설명하는 부분(1~3장)과 프랑스 혁명의 전개과정을 담은 부분(4~7장)으로 크게 나뉜다. 먼저 1장 ‘혁명과 계급’에서는 혁명 집단과 반혁명 집단 등 프랑스 혁명의 주체와 관련한 계급을 분석한다. 2장 ‘계몽사상’에서는 프랑스 혁명이 유일하게 ‘계몽’과 ‘혁명’이 어우러진 사상의 혁명이라는 점에서 케네, 디드로, 루소 등으로 대표되는 18세기 후반기 계몽사상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3장 ‘혁명의 계기’에서는 전쟁과 귀족의 저항 등을 중심으로, 프랑스 혁명의 주체와 사상이 언제 어떤 계기로 어떻게 혁명이 일어나는지를 들려준다. 이후 4장부터 7장까지는 프랑스 혁명의 발발부터 나폴레옹이 실권자로 등장하는 시기까지를 간결하게 정리하고 분석한다. 부록으로 실린 프랑스 혁명 주역들의 ‘인물 약전’과 간략히 정리한 ‘혁명 약연표’는 프랑스 혁명을 이해하는 요긴한 자료가 될 것이다.
Contents
차례
머리말 5
서장序章 역사 속의 혁명 13
1장 혁명과 계급 27
1. 절대왕정 29
2. 혁명적 계급 35
3. 혁명과 계급들 42
2장 계몽사상 49
1. 계몽의 세기 51
2. 혁명사상 55
3장 혁명의 계기 71
1. 전쟁과 개혁 73
2. 귀족의 저항 80
4장 왕과 의회와 민중(1789~1791) 87
1. 삼부회 89
2. 민중의 투쟁 97
3. 제헌의회 106
4. 국왕의 도주 121
5장 전쟁과 혁명(1791~1792) 125
1. 입법의회 127
2. 8월 10일 혁명 133
7장 부르주아 국가의 출현(1794~1799) 183
1. 테르미도르파의 지배 185
2. 균형권력을 향하여 192
종장終章 “혁명은 끝났다” 203
프랑스 혁명 인물 약전略傳 214
프랑스 혁명 약연표略年表 231
옮긴이 후기 238
Author
가와노 겐지,한승동
일본의 도쿠시마(德島)에서 태어나 교토(京都)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경제사와 경제사상사를 전공했으며, 교토대학 인문과학부연구소 교수를 거쳐 교토시립예술대학의 학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절대주의의 구조』, 『프랑스 혁명과 그 사상』, 『현대사의 개막』(岩波新書) 등이 있다. 이와나미(岩波)신서로 간행된 이 책 『짧게 쓴 프랑스 혁명사』는 일본의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 수많은 사람들이 읽은 주목할 만한 ‘스테디셀러’ 중의 하나였다.
일본의 도쿠시마(德島)에서 태어나 교토(京都)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경제사와 경제사상사를 전공했으며, 교토대학 인문과학부연구소 교수를 거쳐 교토시립예술대학의 학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절대주의의 구조』, 『프랑스 혁명과 그 사상』, 『현대사의 개막』(岩波新書) 등이 있다. 이와나미(岩波)신서로 간행된 이 책 『짧게 쓴 프랑스 혁명사』는 일본의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 수많은 사람들이 읽은 주목할 만한 ‘스테디셀러’ 중의 하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