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대상으로서 시선과 목소리

$21.60
SKU
978897418568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08/20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74185688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사랑의 대상으로서 시선과 목소리』는 라깡의 정신분석학이 인문사회학 분야에서 얼마나 영향을 과시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SIC시리즈의 첫 편이다. 라깡을 다루는 가장 저명한 학자들이 써놓은 논문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책은 시선과 목소리를 다루는 1부와 사랑의 대상을 그리는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랑을 두 성 사이의 본질적인 적대관계에서 중재하는 실체로 검토하게 되고 시선과 목소리를 사랑의 매체로 검토하게 된다.

이런 논제에 관하여 라깡학파에서 처음으로 다듬어져 나온 『사랑의 대상으로서 시선과 목소리』는 사랑의 위상을 철학과 음악, 문학, 그리고 영화를 바탕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필자들은 두 성들 사이의 갈등이 현대성의 운명에 있어 더 큰 전쟁터가 된다는 것을 철저히 보여주려 한다. 라깡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하는 SIC시리즈 2권 『코기토와 무의식』이 출간 예정에 있다.
Contents
서문

역자 서문

1부 시선. 목소리
1. 대상 목소리. 믈라덴 돌라르 : 김종주
2. 철학자의 맹인벽. 알렌카 주판치치 : 이병혁
3. 죽이는 시선, 시선 안에서 죽이기 : 마이클 파웰의 (피핑 톰). 엘리자베트 브론펜 : 이수연
4. "나는 눈으로 너를 듣는다" ; 또는 보이지 않는 주인. 슬라보예 지젝 : 윤정주

2부 사랑의 대상들
5. 첫눈에. 믈라덴 돌라르 : 김종주
6. 서구 주체성의 성적 생산, 혹은 사회민주주의자로서의 성 아우구스티누스에 관하여. 프레드릭 제임슨 : 양석원
7. 당신을 포기하지 않고는 당신을 사랑할 수 없어요. 레나타 살레츨 : 한기
8. “성적인 관계는 없다” 슬라보예 지젝 : 이만우

필자와 역자
Author
슬라보예 지젝,라깡정신분석연구회
오늘날 가장 논쟁적인 철학자이자 ‘동유럽의 기적’이라 불리는 세계적 석학. 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파리8대학교, 런던대학교 등 대서양을 넘나들며 세계 주요 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슬로베니아 류블랴냐대학교 사회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 버크벡연구소 인류학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9년 국제적 명성을 안긴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세상에 내놓은 이후, 급진적 정치이론, 정신분석학, 현대철학에서의 독창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대중문화를 자유롭게 꿰어내며 전방위적 지평의 사유를 전개하는 독보적인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저서로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새로운 계급투쟁』 등이 있고, 공저로 『거대한 후퇴』, 『지속 가능한 미래』, 『나의 타자』 등이 있다.
오늘날 가장 논쟁적인 철학자이자 ‘동유럽의 기적’이라 불리는 세계적 석학. 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파리8대학교, 런던대학교 등 대서양을 넘나들며 세계 주요 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슬로베니아 류블랴냐대학교 사회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 버크벡연구소 인류학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9년 국제적 명성을 안긴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세상에 내놓은 이후, 급진적 정치이론, 정신분석학, 현대철학에서의 독창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대중문화를 자유롭게 꿰어내며 전방위적 지평의 사유를 전개하는 독보적인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저서로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새로운 계급투쟁』 등이 있고, 공저로 『거대한 후퇴』, 『지속 가능한 미래』, 『나의 타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