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화 시대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지역통합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설명은 유럽을 제외하고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유럽뿐만 아니라 미주,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세계 여러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적 통합화 현상에 대해 총체적으로 조망하고자 집필되었다. 특히 지역통합의 현실 변화를 반영한 이론과 실제의 분석틀 및 현상을 다루고 있다. 또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격차가 나고 있는 세계 여러 지역의 지역주의화 현상을 공동 연구를 통해 심도 있게 섭렵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쟁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지적 성찰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서문
01. 지역주의의 새로운 경향성 | 유호근
[1부] 지역주의의 진전 및 전망 : 유럽 및 미주
02. 리스본 체제 이후 유럽연합(EU)의 정치적 변신 | 양오석
03.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멕시코 :
북미연합체 형성은 가능한가? | 강경희
04. 미주대륙 에너지 통합과 지역통합의 미래 | 하상섭
[2부] 지역주의의 현황 및 가능성 : 중동 및 아프리카
05. 중동 아랍지역 국가들의 지역주의 : 정치·종교적
통합과 분열 | 정상률
06. 아랍마그렙 국가들의 통합 가능성과 한계 :
아랍마그렙연합(AMU)을 중심으로 | 금상문
07. 아프리카 지역통합의 가능성 : 남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의
정치안보지역주의를 중심으로 | 황규득
[3부] 지역주의의 새로운 전환의 모색 : 아시아
08.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공동체론 : 현실과 유토피아 | 설규상
09.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지역제도 :
일본의 열린 지역주의와 다층구조 | 이지영
10. 동아시아 협력의 이론적 지평 :
동아시아적 적실성을 찾아 | 김기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