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한국철학사

16개의 주제로 읽는 한국철학
$32.40
SKU
9788974112448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4/3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7411244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민족의 사상적 바탕이 된 개념들을 알아보고, 외래사상이 유입되면서 그것이 어떤 형태로 변화·발전되어 왔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외래사상 유입 전·후, 조선시대와 근대 등 시기별로 여러 사상들이 대립하고 어우러지며 만들어낸 새로운 철학의 양상들을 다루고 있는데, 한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은 그 사회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우리의 사상을 알고, 그를 통해 역사적 사실들을 이해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고·중세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친 불교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로 우리 철학이 성리학, 실학, 서구의 근대문명 등을 만나면서 어떤 식의 전개를 보였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또, 매 장을 설명하기에 앞서 같은 시기에 어떤 사상이 존재했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놓아 시기별로 철학의 총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독자들은 그 속에서 한국철학사에 등장한 여러 사상들의 특징과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1부 | 한국의 원초적 사유와 고중세의 불교사상
1강 건국신화의 세계와 원초적 사유
1. 머리말
2. 신화의 도입부분
3. 신화의 전개부분
4. 신화의 결말부분
5. 맺음말

2강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불교사상
1. 머리말
2. 불교의 수용과 삼국의 불교사상
3.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4. 맺음말

3강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1. 머리말
2. 고려시대 불교의 전개
3. 보조 지눌의 사상
4. 맺음말

제2부 | 근세 전기 조선성리학의 성립
4강 여말선초의 역사적 전환과 사대부의 사상적 대응
1. 머리말
2. 도덕성과 실용성
3. ‘무’적 사유에서 ‘유’적 사유로
4. ‘실’의 철학과 정치 의식
5. 맺음말

5강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사단칠정론
1. 머리말
2. 퇴계의 사단칠정론
3. 율곡의 사단칠정론
4. 맺음말

보론 | 성리학의 이기론과 심성론
마음은 성과 정으로 구성된다
리와 기란 무엇인가
리와 기의 관계
심성정의 개념

3부 | 근세 후기 조선성리학의 발전과 변용
6강 호락논쟁의 성립과 남당 한원진?외암 이간의 심성론
1. 머리말
2. 외암의 인물성동론과 미발심론
3. 남당의 인물성이론과 미발심론
4. 맺음말

7강 녹문 임성주와 노사 기정진의 이일분수설
1. 머리말
2. 임성주와 기정진의 이일분수설
3. 맺음말

8강 조선성리학의 심학화 경향
1. 머리말
2. ‘심구리(心具理)’, ‘심여리일(心與理一)’, ‘심즉리(心卽理)’
3. ‘심시기(心是氣)’에서 ‘심성일치(心性一致)’로
4. ‘심합이기(心合理氣)’에서 ‘심즉리’로
5. 맺음말

9강 한주학파와 간재학파의 심설논쟁
1. 머리말
2. 한주 이진상의 율곡학파 비판과 심즉리설의 정립
3. 간재 전우의 한주비판과 ‘성사심제설’의 정립
4. 맺음말

제4부 | 양명학과 실학사상
10강 하곡 정제두와 강화학파의 양명학
1. 머리말
2. 양명학설의 수용과 계승
3. 한국양명학의 태두(泰斗) 정제두(鄭齊斗)
4. 강화학파의 양명학
5. 맺음말:양명학의 한국적 수용

11강 조선 후기 실학파의 사상적 계보
1. 머리말
2. 퇴율이후 성리론의 전개양상
3. 인물성동이논쟁의 전개와 그 특성
4. 실학파의 형성과 그 철학적 특질
5. 맺음말

12강 서학과 다산 정약용? 혜강 최한기의 실학사상
1. 머리말
2. 조선후기 서학의 수용
3.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경학사상
4. 혜강 최한기의 기학과 실학사상
5. 맺음말

13강 조선성리학의 도가철학에 대한 인식
1. 머리말
2. 조선조 도가사상 이해의 기본틀
3. 맺음말

제5부 | 근대 이행기의 사상적 동향
14강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조선유학의 대응양상
1. 머리말:강력한 타자, 서양의 만남
2. 위정척사(衛正斥邪):문화적 자긍심과 반외세사상
3. 개화사상(開化思想):문명한 세상 열기
4. 동학사상(東學思想):민중의 주체적 자기인식
5. 맺음말:강력한 타자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역동적 대응

15강 국권회복을 위한 자강사상
1. 머리말:사회진화론 수용의 파장
2. 자강운동(自强運動):강자되기 프로젝트
3. 문명에 대한 서로 다른 시선
4. 야만적 근대 넘어서기
5. 맺음말:야누스적 타자와 마주 선 한국 근대

16강 한국 근대 신종교의 사상적 지형
1. 머리말
2. 철학적 주제들
3. 후천개벽론
4. 맺음말
Author
최영진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다.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사무차장보, 주 코트디부아르 유엔 평화유지임무단(UNOCI) 대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외교부 차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주 유엔대사, 주미 대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UNOCI에서의 활동은 코트디부아르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세대에서 의과대학 4년을 수료하고,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국제관계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 조선책략》(2013), 《코트디부아르 위기》(프랑스어 2015), 《동서양 문명 비교》(영어 2015, 폴란드어 2018, 중국어 2018) 등을 출간했다.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다.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사무차장보, 주 코트디부아르 유엔 평화유지임무단(UNOCI) 대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외교부 차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주 유엔대사, 주미 대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UNOCI에서의 활동은 코트디부아르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세대에서 의과대학 4년을 수료하고,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국제관계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 조선책략》(2013), 《코트디부아르 위기》(프랑스어 2015), 《동서양 문명 비교》(영어 2015, 폴란드어 2018, 중국어 2018) 등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