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는 기원을 찾으며 : 이 시대 대한민국 사람들은 많은 나무 가운데 소나무를 가장 좋아한다. 조사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1991년부터 2023년까지 32년간 수행된 8번의 수종 선호도 조사에서 2위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소나무가 1순위로 선정되었다.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국민은 경관적 가치를 가장 높게 선정하였으나 전문가는 인문학적 가치를 들었다. 전문가 역시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경관적 가치를 2순위로 선택한 것을 볼 때 소나무의 경관적 가치는 국민과 전문가 모두 소나무를 좋아하는 공통된 인식이었다.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①모든 나무 가운데 소나무가 으뜸이라는 유교적 상징성, ②조선 후기 송정으로 대표되는 국가로부터 강제된 소나무의 중요성, ③조선 후기 온돌의 전국적 보급과 가정용 연료재의 과도한 채취로 우리 주변에서 늘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소나무의 접근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Contents
발간사 … 5
추천사 … 8
제1장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게 된 기원을 찾으며 … 15
제2장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과 인식의 변화 … 29
1.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 변화 : 철기시대~조선 후기 … 31
2. 산림정책과 소나무 인식 변화 : 조선 후기~일제강점기 … 45
3. 대한민국의 산림정책과 소나무 인식 … 68
보론 북한이 바라는 ‘소나무의 나라’ … 92
제3장 ‘으뜸나무’가 된 소나무 … 123
제4장 ‘중요한 나무’로 역할을 한 소나무 … 139
1. 조선 후기 국가가 필요로 하는 목재를 공급한 봉산 … 141
2. 조선시대 능 · 원 · 묘와 소나무 숲 … 159
3. 천연기념물과 보호수 … 164
4. 지역주민의 삶과 소나무 … 170
제5장 ‘늘 보는 나무’가 된 소나무 … 185
1. 소나무는 어떤 나무? … 187
2. 소나무숲의 과거와 현재 … 193
3. 소나무숲의 자연적 변화와 환경 교란 … 202
제6장 소나무숲의 미래를 위한 모색 … 213
부록 … 229
1. 일본 지력의 쇠약과 적송 … 231
2. 국립산림과학원의 소나무 인식조사 주요 결과 … 240
3. 소나무 · 소나무숲의 천연기념물과 시도기념물 지정 현황 … 251
인용 문헌 … 254
Author
배재수,김은숙,오삼언,배수호,서정욱,안지영
서울대에서 『일제의 조선 산림정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이용과 보전의 역사를 지속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임정사(편역)』(2001), 『조선후기 산림정책사』(2002),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2010), 『조선후기 산림과 온돌』(2020), 『일제강점기 산림정책과 산림자원의 변화』(2021), 『광복 이후 산림자원의 변화와 산림정책』(2022) 등이 있다.
서울대에서 『일제의 조선 산림정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이용과 보전의 역사를 지속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임정사(편역)』(2001), 『조선후기 산림정책사』(2002),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2010), 『조선후기 산림과 온돌』(2020), 『일제강점기 산림정책과 산림자원의 변화』(2021), 『광복 이후 산림자원의 변화와 산림정책』(202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