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제우의 철학

시천주와 다시개벽
$19.87
SKU
97889730096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12/11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73009640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동학 교조인 수운 최제우의 생애를 돌아보고 그의 사상 및 주요 저서를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고 있는 연구서이다. 저자는 동학을 종교로만 보기보다는, 오늘날의 문명적 위기를 극복해나갈 정신적 기초가 될 수 있는 한국 근현대 철학의 선구적 사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우리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서양의 근대 문명이 그 한계를 드러내면서 생명과 평화, 인간의 존엄성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 속에서, 동학은 이 시대를 구하고 새로운 문명적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책의 주된 내용이다.

‘시천주’와 ‘다시개벽’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학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데, 자기 안에 있는 하늘님을 발견함으로써 스스로를 새롭게 하고, 나아가 사람과 뭇 생명을 신령한 하늘님으로 모시고 공경하는 ‘생활양식의 전면적 전환’을 추구하는 것이 동학의 주된 특징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나아가 그것을 사회적으로 확장함으로써 ‘사회적 성화’를 이루고자 한 문명전환운동의 관점에서 ‘개벽’이라는 용어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동학’의 ‘동’을 서에 대한 ‘동’이 아니라 동국의 ‘동’으로 해석하고 있다. 즉 ‘동학’을 ‘서학’에 대한 ‘동학’이 아니라 ‘동국의 학’으로 해석함으로써 기존의 동학 해석에 획기적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Contents
시리즈를 펴내며
머리말: 이 시대 왜 다시 동학인가

1. 최제우의 생애와 철학

1. 수운의 생애와 저서
1) 수운의 삶과 동학 창도
2)『동경대전』과 『용담유사』
2. “네 안의 하늘님을 발견하라”
1) 수운의 깨달음, 시천주
2) ‘하늘님’ 관념과 지기
3) 귀신도 하늘님이다?
4) 무위이화, 자연한 이치
5) 하늘님은 선악을 가리지 않는다?
3. “사람이 하늘이다”
1) 하늘님을 모신 존재
2) 하늘과 땅과 사람
3) 조화로운 인격과 깨달음
4) 시천주와 인내천
4. 마음과 기운, 그리고 수도
1) 수심정기
2) 주문과 영부
3) 칼노래와 칼춤
5. ‘다시개벽’의 새세상

2. 자료

1. 동경대전
2. 용담유사

연보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용휘
대구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1991년 한양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학의 시천주 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철학과 강사, 군산대학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HK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동학학회 총무이사,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생명평화위원장, 천도교한울연대 사무총장, 방정환한울학교 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환경과 생명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생명평화위원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지난 2년간 인도 오로빌에서 공동체를 경험하고 돌아와 지금은 방정환의 정신을 계승하는 ‘방정환배움공동체 구름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동학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대의 철학을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학문으로서의 동학』, 『최제우의 철학』, 『손병희의 철학』, 『최제우, 용천검을 들다』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동학의 불연기연의 논리와 인식론-반대일치와 포월의 논리」, 「도가의 무위자연과 동학의 무위이화 비교 연구」, 「20세기 전반 천도교 지식인의 서양 인식과 신문명론」 등이 있다.
대구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1991년 한양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학의 시천주 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철학과 강사, 군산대학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HK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동학학회 총무이사,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생명평화위원장, 천도교한울연대 사무총장, 방정환한울학교 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환경과 생명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생명평화위원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지난 2년간 인도 오로빌에서 공동체를 경험하고 돌아와 지금은 방정환의 정신을 계승하는 ‘방정환배움공동체 구름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동학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대의 철학을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학문으로서의 동학』, 『최제우의 철학』, 『손병희의 철학』, 『최제우, 용천검을 들다』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동학의 불연기연의 논리와 인식론-반대일치와 포월의 논리」, 「도가의 무위자연과 동학의 무위이화 비교 연구」, 「20세기 전반 천도교 지식인의 서양 인식과 신문명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