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한국철학의 맥

$26.45
SKU
9788973007943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Wed 05/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Wed 04/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08/06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7300794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국철학의 기본 정신은 무엇이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사상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자세하게 고찰하는 책이다. 한국철학을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하여 전체 사상을 관통하여 흐르는 맥으로 이해하고 설명한다. 또한 그동안 서양철학에 비해 등한시되어온 한국의 사상들을 재조명하고 언젠가 ‘한국의 정신’으로서 확연하게 밝혀질 ‘한국철학의 맥’을 드러내보고자 했다는 데에서 이 책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단군신화를 비롯한 고대 무교에서부터 삼국시대와 고려의 불교, 조선의 유교를 거쳐 현대 서양철학의 수용에 이르기까지 역사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된 사상들의 흐름을 따라가며 한국철학 전체를 살펴보는 이 책은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철학의 기본정신을 하나의 큰 마음, 한 마음, 즉 일심(一心)으로 보고 긴 역사를 통해 한국인의 사유방식이나 사상체계에 내재하고 있는 일관된 흐름이 바로 일심사상이며, 이것이 한국적인 불교와 유교 및 현대철학을 형성해왔다고 저자는 말한다.
Contents
지은이의 말

1부 한국철학의 기본 정신
1장 한국사상의 원형: 단군신화
2장 한국의 무교문화
3장 한국인의 심성과 철학적 지향

2부 불교적 전개
1장 원효: 일심의 원융성과 자각성
2장 의상: 존재의 평등성
3장 지눌: 주체의 자각성

3부 유교적 전개
1장 정도전: 불교와 유교의 갈등
2장 권근: 천인합일과 심
3장 이황과 기대승: 사단칠정론에서 인간의 성(性)과 정(情)
4장 이이, 송시열, 김창협: 심과 미발지각

4부 서학과의 갈등
1장 이익, 신후담, 안정복: 유교와 천주교의 갈등 (1)
2장 정약용: 유교와 천주교의 갈등 (2)
3장 최제우: 유교, 서학, 무교, 불교 그리고 동학
4장 동학의 종교성과 혁명성
5장 박종홍의 서양철학 수용
Author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서우철학상 수상), 『자아의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 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청송학술상 수상),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원효학술상 수상),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불교출판문화상 대상 수상),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마음의 연구』(반야학술상 수상),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영지』,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서우철학상 수상), 『자아의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 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청송학술상 수상),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원효학술상 수상),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불교출판문화상 대상 수상),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마음의 연구』(반야학술상 수상),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영지』,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