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에 이어 이 책을 출간하면서 어떠한 영미 철학자들을 소개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이 많았다. 분석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소개할 것인가, 아니면 과학철학자나 윤리철학자들을 중심으로 계보를 세워볼 것인가. 그러다 철학자들 간의 연결점을 찾는 데 집중하기보다 영미 철학을 대표하는 다양한 철학자들을 소개해보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비트겐슈타인, 화이트헤드, 쿤, 롤스, 매킨타이어, 왈쩌, 퍼트남, 로티, 촘스키, 프레이저, 제임슨 이렇게 11명을 선정했고, 책 작업에 앞선 강의에서 수강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기로 했다. 롤스나 왈쩌 등 도덕철학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쿤과 촘스키 같은 특정 철학자에 관심이 있어서 강의에 참석하는 수강생들도 있었다. 그래서 책을 엮으면서 이러한 상황을 그대로 담기로 했다. 각 철학자들을 충실하게 소개하되, 영미 철학에서의 위치를 짚어주려고 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영미 현대철학의 주요 흐름은 물론이며, 영미 철학을 장식한 철학자들의 특징을 잡아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차례
들어가는 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유아론에서 실천으로: 박정일
“나는 훌륭한 생을 살았다”/ 사고의 한계/ 《논리-철학 논고》의 포 / 언어놀이와 가족유사성/ 유아론과 실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생성의 합리성과 비합리성:
문창옥
경계의 철학: 과정철학 또는 유기체철학/ 현실적 존재의 구조 분석/ 현실적 계기의 ‘경험’ 분석/ 현실세계의 ‘변화’ 분석/ 화이트헤드와 현대
과학을 새롭게 사유하다, 토마스 쿤과 과학혁명: 이봉재
《과학혁명의 구조》 이전/ 《과학혁명의 구조》의 주요 내용/ 《과학혁명의 구조》로부터의 혁명/ 《과학혁명의 구조》 이후
존 롤스의 평화를 위한 정의의 철학: 정원섭
평화를 위한 정의/ 《정의론》과 현대 정치철학의 주요 쟁점들/ ‘공정으로서 정의’와 정의의 두 원칙/ 재산소유 민주주의와 복지국가 자본주의/ 왜 정치적 자유주의인가?: 민주적 정당성과 공적 이성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사회의 비판자,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김수정
정감주의와 현대 국가의 등장/ 도덕적 주체와 서사적 통일성/ 자연주의적 목적론과 상호의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