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이성적인가, 아니면 반이성적인가?
이성과 반이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과 그 질문의 역사!
이성은 서양 철학의 핵심 개념이다. 인간에게 이성은 현실적 가능성이자 규범적 목적이기에 주류 서양 철학의 모든 철학적 고투는 종국적으로는 이성을 향해 집중되었다. 물론 철학사에서 시대 시대마다 이 흐름에 대해 비판하고 도전하는 반이성의 흐름이 있었고 최근 20세기 후반에도 대결의 지형이 펼쳐지면서 그 전면전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 책은 서양의 이성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를 고대와 근대에 걸쳐 추적한다. 그리고 나서 20세기 철학에서 이성에 대한 이성의 내적 비판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이성의 흐름에 도전했던 해체로 대변되는 탈이성적 사유와 정신분석학적 사유가 어떻게 반이성의 근원을 이루었는지를 살펴본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1장 이성과 반이성의 격돌/조광제
1. 문제틀의 형성
2. 이성과 반이성의 역사
3. 결론 혹은 모더니즘 관련
3장 아리스토텔레스: 인간과 세계 속의 ‘이성’ 개념/김진성
1. 철학의 분과와 로고스
2. ‘이성(도리)’에 따른 삶: 윤리학의 영역
3. ‘언어’, ‘논리’로서의 로고스: 논리학의 영역
4. ‘이성 능력’으로서의 로고스: 인식론의 영역
5. ‘법칙’으로서의 로고스: 존재론의 영역
4장 스피노자: 욕망의 힘, 이성의 역량/진태원
1. 상상과 욕망의 철학자 스피노자
2. 상상에서 벗어나기?
3. 인식과 삶의 자연적 조건으로서의 상상
4. 인간의 본질로서의 욕망
5. 정서와 이성
6. 욕망의 탈구축
5장 칸트: 두 얼굴의 이성, 이론이성과 실천이성/박정하
1. 근대 이성을 완성하다
2. 이성의 핵심 기능은 비판이다
3. 이론이성과 실천이성: 이성은 두 개인가?
4. 이성의 이론적 사용: ≪순수이성 비판≫의 이론이성
5. 이성의 실천적 사용: ≪실천이성 비판≫의 실천이성
6. 실천이성의 우위
6장 헤겔: 이성의 진보로서의 역사/정대성
1. 현대와 반이성주의
2. 이성의 활동으로서의 철학과 그 정점의 계몽주의
3. 계몽의 이성의 한계와 반(反)이성주의
4. 계몽과 낭만에 대한 헤겔의 대응
5. 주객 분리의 이성에서 화해하는 이성으로
6. 전통적 이성 개념의 완성
7장 호르크하이머: 이성 비판과 가부장의 자의식/이순예
1. 가부장이면서 비판적인
2. 팰릭스 바일과 함께 독립적인 연구 집단의 조직화를 실현하다
3. 주관적 이성과 객관적 이성
4. 자유주의와 파시즘을 넘어서
9장 가다머: 이성과 감성의 지평융합으로서의 이해/박남희
1. 우리는 과연 이성적인가
2. 이성인가, 이해인가
3. 이성과 감성의 지평융합으로서의 이해
4. 이해를 추구하는 가다머의 해석학
5. 가다머 해석학의 의미와 영향
10장 사르트르: 20세기의 마지막 거대 담론 주창자/변광배
1. 구조적·역사적 인간학을 위하여
2. ≪변증법적 이성 비판≫의 집필 배경
3. 변증법적 이성의 비판
4. 인간의 주체성과 이성을 향하여
2부 반이성적 사유의 가능성과 다양성
11장 니체: 이성은 힘에의 의지의 도구다/박찬국
1. 이성 중심에서 의지 중심으로
2. 정념들의 승화를 통합 힘에의 의지의 강화
3. 우리 내면의 현자로서의 힘에의 의지
4. 니체의 이성 비판이 갖는 의의
12장 바타유: 이성의 성(城) 밖으로/김성하
1. 바타유가 허물고자 하는 이성의 성(城)
2. 이성의 성(城) 밖으로
3. 후대에 미친 영향
4. 바타유의 글과 전집
13장 메를로퐁티: 이성의 신화에 대항하는 살적 이성/정지은
1. 이성의 신화에 대한 비판
2. 살적 존재 안에서의 주체성과 이성
14장 푸코: 서양적 합리성의 역사와 한계?하버마스의 비판에 대한 하나의 응답/허경
1. 하버마스의 문제 제기
2. 하버마스의 니체: 비합리주의자
3. 하버마스의 푸코 1: 인간 과학의 이성 비판적 폭로
4. 하버마스의 푸코 2: 권력 이론의 아포리아
5. ‘합리주의자’ 하버마스와 ‘비합리주의자’ 푸코: 계몽의 협박
6. 누가 ‘청년 보수주의자’인가?
15장 들뢰즈: 생각에 대한 새로운 상과 예술가적 배움/김재인
1. 생각을 생각하라
2. 생각에 대한 새로운 상(象)
3. 예술과 기호, 생각과 해석 사이의 진실
4. 예술 창조와 배움
5. 내가 우주다, 우주를 펼쳐라
16장 라캉: 문자의 과학과 이성, 주체의 전략/김석
1. 주체와 합리성을 가로지르는 라캉
2. 문자의 과학과 라캉의 이성
3. 욕망과 존재, 진리
4. 문자에 대한 전략
5. 새로운 이성을 향하여
18장 데리다: 유사초월론과 이성의 탈구축/진태원
1. 데리다는 포스트모더니스트?
2. 유사초월론이란 무엇인가?
3. 유사초월론의 논리
4. 유사초월론은 진리와 정의를 부정하는가?
본문의 주
참고문헌
글쓴이 소개
Author
철학아카데미
시민을 위한 제도권 바깥의 대안철학학교인 철학아카데미는 2000년 3월 문을 열었다. ‘열린 사유의 공간, 사유를 열어가는 광장’을 지향하며 철학 대중화 운동에 앞장서 왔다. 동서양 철학사를 수놓은 많은 사상가들을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강의를 기획해왔고, 그렇게 열린 강좌가 지금까지 1,300개가 넘었다. 좋은 반응을 얻은 강의 중 일부는 『철학, 예술을 읽다』, 『현대철학의 모험』,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처음 읽는 영미 현대철학』 등으로 출간됐다.
시민을 위한 제도권 바깥의 대안철학학교인 철학아카데미는 2000년 3월 문을 열었다. ‘열린 사유의 공간, 사유를 열어가는 광장’을 지향하며 철학 대중화 운동에 앞장서 왔다. 동서양 철학사를 수놓은 많은 사상가들을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강의를 기획해왔고, 그렇게 열린 강좌가 지금까지 1,300개가 넘었다. 좋은 반응을 얻은 강의 중 일부는 『철학, 예술을 읽다』, 『현대철학의 모험』,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처음 읽는 영미 현대철학』 등으로 출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