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기술 목적 및 대상: 무엇을 공부하는가? 16
1.2. 기술적 방식과 내용, 구성 22
1.2.1 언어를 보는 눈 / 22
1.2.2 언어 단위: 단어와 형태소 / 24
1.2.3 변동: 공시적 기술 / 26
1.2.4 통시적 시각에서 본 변동 / 28
1.2.5 기술의 거시와 미시 / 30
1.3. 러시아어의 역사적 배경 32
1.3.1. 러시아어와 슬라브어족, 슬라브 조어 / 32
1.3.2. 인구 조어, 발트-슬라브 조어 / 35
1.3.3. 언어사 시대 구분: 공통슬라브어 / 36
1.3.4. 고대 교회 슬라브어 / 40
제2장 | 예비적 논의
2.1. 러시아어 음운 표기 46
2.1.1. 문제 인지 / 46
2.1.2 끼릴 문자 표기법의 중의성 / 47
2.1.3 음운 전사 / 51
2.1.4 형태 분석 / 52
2.2. 음성과 음운, 음운 체계 54
2.2.1 음성 / 54
2.2.2 음운 / 57
2.2.3 형태음운론 / 62
2.3. 통시적 변화 66
2.3.1 음성 변화 / 67
2.3.2 음운적 재해석 / 68
2.3.3 형태음운적 변화: 패러다임 단순화와 유추 / 70
2.3.4. 음성변화의 상대적 연대 / 73
제3장 | 인구 조어에서 슬라브 조어로의 변화
3.1. 인구 조어의 음운 체계 78
3.2 인구 조어에서 슬라브 조어로의 이행 시기에 발생한 음성 변화 80
3.2.1 장애음의 [기식성] 소실 / 80
3.2.2 공명음의 [성절성] 소실 / 80
3.2.3 이른바 RUKI 변화 / 81
3.2.4 연구개음의 [원순성]의 소실 / 84
3.2.5 사템 마찰음화 / 85
3.2.6 후설 저모음의 합류 / 87
3.3 슬라브 조어의 음운 체계 89
3.4 슬라브 조어에서의 아블라우트 90
제4장 | 공통슬라브어 시기에 발생한 음성 변화
4.1 음절 제약 원리 96
4.1.1. 공명도 상승 / 96
4.1.2. 음절 내 조화 / 98
4.2 제1차 연구개음의 경구개음화 99
4.2.1. 공시적 변동 / 99
4.2.2. 역사적 변화 / 101
4.2.3. 변동에 대한 역사적 설명 / 104
4.3 제1차 공통슬라브어 모음 추이 107
4.3.1. 공시적 변동 / 107
4.3.2. 통시적 변화 / 108
4.3.3. 역사적 설명 / 110
4.4. 제2차, 제3차 연구개음의 경구개음화(II-PAL, III-PAL) 112
4.4.1 제2차 연구개음의 경구개음화(II-PAL) / 112
4.4.2 제3차 연구개음의 경구개음화(III-PAL) / 119
4.5 ‘요드-경구개음화’와 탈요드화 130
4.5.1. 공시적 변동 / 130
4.5.2. 역사적 변화 / 132
4.5.3. 역사적 설명 / 136
4.6 우믈라우트(Umlaut) 140
4.6.1. 공시적 변동 / 140
4.6.2. 역사적 변화 / 141
4.6.3. 역사적 주석 / 142
4.7. 유음의 이중모음(liquid diphthong) 143
4.7.1 TORT 부류 / 144
4.7.2 TЪRT 부류 / 149
4.7.3 ORT 부류 / 152
4.8 비음(鼻音)의 이중모음 153
4.8.1. 공시적 변동 / 153
4.8.2. 역사적 변화 / 154
4.8.3. 역사적 설명 / 155
4.9 어말 자음 탈락과 자음군 간소화 156
4.9.1 어말 자음 탈락 / 156
4.9.2 자음군 간소화 / 157
4.10 어두음 첨가(prothesis) 164
4.10.1. 공시적 변동 / 164
4.10.2. 역사적 변화 / 165
4.11. 제2차 공통슬라브어 모음 추이 167
4.12. 연자음의 발생 168
4.12.1. 공시적 변동 / 168
4.12.2. 역사적 변화 / 169
4.13. 모음의 변이 171
제5장 | 고대러시아어 시기의 음성 변화
5.1. 약화모음의 변화 176
5.1.1. 역사적 변화 / 177
5.1.2. 약화모음의 변화 결과 / 183
5.2. 예르의 변화가 음운 체계에 미친 영향 191
5.2.1. 닫힌 음절의 도래 / 191
5.2.2. 음절 내 음조성 원리 제거 / 192
5.2.3. 유성음화 및 어말무성화 / 192
5.2.4. 연음성 동화 / 193
5.2.5. 경구개 자음군 / 195
5.2.6. 이화 / 196
5.2.7. 공명음 자음군 / 197
5.2.8. 기타 자음군 간소화 / 198
5.3. ‘E 〉 O’ 199
5.3.1 역사적 변화 / 199 5.3.2 공시적 변동 / 203 5.3.3 정리: 상대적 연대 / 206
5.4. 기타 변화들 207
5.4.1 어말 /m'/ 〉 /m/ / 207
5.4.2 형용사 및 대명사의 단수생격(남성)형의 /g/[g] 〉 [v] / 207
5.4.3 부정사형 어미 -ti 〉 -t' / 208
5.4.4 명령형 어미 -i 〉 -ø / 208
5.4.5 2인칭단수현재형 어미 -e?i/-i?i 〉 -e?/i? / 209
5.4.6. OR mati, do?i 〉 CSR mat' мать, do?дочь / 209
5.4.7. 형용사 여성단수조격형 어미 말 모음 -u의 소실 / 209
5.4.8. 재귀사 s?〉 s'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