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트릴레마

여론, 커뮤니케이션, 해법의모색
$16.20
SKU
97889729154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5/24
Pages/Weight/Size 150*220*30mm
ISBN 9788972915423
Categories 사회 정치 > 생태/환경
Description
후쿠시마 사고 직후 『원자력 딜레마』를 출간하여, 원자력 갈등의 성격과 정책 방향을 제시한 저자가 각고의 노력 끝에 상재하는 『원자력 트릴레마』는 한미원자력협정의 개정과 사용후핵연료의 중간관리 방안을 해결해야 하는 원자력 정책의 분수령에서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 수 있는 명쾌한 정공법과 탁월한 혜안을 보여주고 있다.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트릴레마(trilemma)에 빠져 있는 한국 원자력계의 면면을 살펴보고, 더불어 후쿠시마 원전 비상사태 이후 세계를 뒤흔든 탈도 많고 말도 많은 원자력의 쟁점을 해부한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서문

제1장 원자력 발전의 역사
1. 세계의 원자력 발전이 걸어온 길
2.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이 걸어온 길
3.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원자력 동향

제2장 원자력 커뮤니케이션과 PR
1. 원자력 PR의 이론적 모델과 국내외 동향
1) 원자력 PR의 특성
2) 원자력 PR의 모델
3) 원자력 PR과 안전규제 기관
4) 해외 안전기준 동향
5) 국내 원자력 홍보사업
6) 해외 원자력 PR 동향

2. 한국PR학회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정부-국민 간 소통 방안’ 심포지엄 발제자료 요지
1) ‘정책홍보 3.0을 열기 위한 과제’
2) ‘원자력 안전과 신뢰 증진 방안’
3) ‘대국민 소통과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고찰’
4) ‘원전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성공적 소통 전략’
5) ‘원전과 지역사회 갈등 구조에 관한 소고:고리 원자력 발전소를 중심으로’
6) ‘수사적 관점에서의 원전 PR’
7) ‘PR 커뮤니케이션 전략에서의 위험과 갈등의 통합적 접근’
8) ‘원전에 대한 수용자 인식에 따른 장단기 소통 전략’
9) ‘고리 원전 1호기 안전한가?’
10) ‘총괄적 결론과 정책 제언’

3. 원자력 PR에 대한 과학기술적 메타 분석
4. 원전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전환:융합적 접근
5. 원자력 PR의 패러다임 전환
6. 원자력 소통의 실행 원칙

제3장 후쿠시마 사고 전후 국가별, 시기별 원자력 여론 동향 분석
1. 글로벌 원자력 여론조사 결과 추이

1)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의 원자력 인식조사
2) 2008년 국제원자력기구의 4개국 대상 여론조사 결과(1970-2008)
3) WIN-갤럽 인터내셔널의 47개국 대상 여론조사
4) 2011년 《아사히신문》의 7개국 대상 여론조사
5) 2011년 5월 입소스와 로이터 통신 공동의 24개국 대상 여론조사
6) BBC World Service Poll의 23개국 대상 여론조사

2. 국가별 원자력 여론조사 결과 추이
1) 원전 가동국의 사회적 여론과 정책:무엇이 변수인가
2) 친원전 국가
3) 반원전 국가
4) 후쿠시마 사고 이후 친원전에서 중립으로 바뀐 국가군
5) 신규 원전 도입 국가

3. 국내 원자력 여론조사 결과는 어떤가
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여론조사(2011.12)
2)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여론조사(2012.5)
3) 《동아일보》 원자력 인식 설문조사(2012.3)
4) 현대경제연구원 원자력 에너지 안정성에 대한 대국민 조사(2012.3)
5) 국회의원 홍의락 의원실 에너지 인식조사(2012.10)
6) 시민단체 여론조사

4.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전문가 여론조사
1) 과학기술계 원자력 인식조사(2012. 8)
2) 과학기술계 원자력 인식조사(2012.12)

5. 원자력 언론보도 메타 분석:후쿠시마 사고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달라졌나
1) 미디어 담론과 분석 프레임
2)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한 달간 언론보도 패턴 분석
3) 후쿠시마 사고 전후 1년간 언론보도 패턴 분석
4) 고리 원전 사고 이후 한 달간 언론보도 패턴 분석

6. 원자력 여론조사와 정책의 상관관계:원자력을 보는 세 가지 시각

제4장 원자력 여론 원탁 대화록:여성 과학기술계 중심으로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사업 목록
찾아보기
Author
김명자,최경희
경기여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를 졸업(1966)한 뒤,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1971)를 받았다. 이후 30여 년 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기술정책대학원과정 CEO 초빙교수,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초빙(특훈)교수로 화학과 과학사, 환경정책, 과학기술정책을 강의했다.

김대중 대통령 정부에서 환경부 장관(1999. 6-2003. 2)으로 임명되어 ‘국민의 정부 최장수 장관’과 ‘헌정 최장수 여성장관’으로 2001년 제1회, 2002년 제2회 법적 근거에 의한 정부부처 업무평가에서 환경부를 최우수 부처(대통령 표창)로 이끌었다. 이후 제17대 비례대표 국회의원(2004. 4-2008. 5)으로 선출되어 국방위원회 간사를 지내며 ‘군인복지기본법’ 등을 제정했고, 국회윤리특별위원장 등을 지냈다.

1980년대부터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 국민경제자문위원,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 사회통합위원, UNESCO 한국위원, 중앙교육심의위원, KBS 객원해설위원, (사)그린코리아21포럼 이사장,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이사장,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 회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회장, 기획재정부 KSP 수석고문, 아산정책연구원 이사, ICAPP(아시아정당국제회의) 공동조직위원장, 호스피스 국민본부 공동 대표 등 300여 개의 위원회에 참여했다.

현재 한국환경한림원 이사장, 홍릉포럼 이사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 김대중 평화센터 이사,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 유민문화재단 이사, 서울국제포럼 이사, 대한민국 헌정회 고문,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2016년 한국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50년 역사상 최초의 여성 회장으로 선출되어 300여 회의 정책 포럼 등을 진행했고, 베이징 소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국제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원자력 딜레마』, 『사용후핵연료 딜레마』(공저), 『원자력 트릴레마』(공저), 『현대 사회와 과학』, 『동서양의 과학전통과 환경운동』, 『과학기술의 세계』, 역서로는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엔트로피(Entropy)』, 『앞으로 50년(Your next fifty years)』 등이 있다. 2015년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대통령상, 2015년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진흥상’ 대통령상(1994), 제1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상’(2002), 청조근정훈장(2004) 등을 수상했다.
경기여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를 졸업(1966)한 뒤,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1971)를 받았다. 이후 30여 년 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서울대학교 기술정책대학원과정 CEO 초빙교수,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초빙(특훈)교수로 화학과 과학사, 환경정책, 과학기술정책을 강의했다.

김대중 대통령 정부에서 환경부 장관(1999. 6-2003. 2)으로 임명되어 ‘국민의 정부 최장수 장관’과 ‘헌정 최장수 여성장관’으로 2001년 제1회, 2002년 제2회 법적 근거에 의한 정부부처 업무평가에서 환경부를 최우수 부처(대통령 표창)로 이끌었다. 이후 제17대 비례대표 국회의원(2004. 4-2008. 5)으로 선출되어 국방위원회 간사를 지내며 ‘군인복지기본법’ 등을 제정했고, 국회윤리특별위원장 등을 지냈다.

1980년대부터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 국민경제자문위원,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 사회통합위원, UNESCO 한국위원, 중앙교육심의위원, KBS 객원해설위원, (사)그린코리아21포럼 이사장,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이사장,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 회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회장, 기획재정부 KSP 수석고문, 아산정책연구원 이사, ICAPP(아시아정당국제회의) 공동조직위원장, 호스피스 국민본부 공동 대표 등 300여 개의 위원회에 참여했다.

현재 한국환경한림원 이사장, 홍릉포럼 이사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 김대중 평화센터 이사,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 유민문화재단 이사, 서울국제포럼 이사, 대한민국 헌정회 고문,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2016년 한국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50년 역사상 최초의 여성 회장으로 선출되어 300여 회의 정책 포럼 등을 진행했고, 베이징 소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국제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원자력 딜레마』, 『사용후핵연료 딜레마』(공저), 『원자력 트릴레마』(공저), 『현대 사회와 과학』, 『동서양의 과학전통과 환경운동』, 『과학기술의 세계』, 역서로는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엔트로피(Entropy)』, 『앞으로 50년(Your next fifty years)』 등이 있다. 2015년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대통령상, 2015년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진흥상’ 대통령상(1994), 제1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상’(2002), 청조근정훈장(2004)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