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율과 비유라는 시 고유의 원리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표준형을 설정하고, 김소월과 이상이라는 계보를 축으로 현대시의 좌표를 기술, 나아가 대표적인 현대 시인들의 작품을 통해 현장을 탐구했다. 현대시의 원리와 현장을 일목요연하게 개괄하는 개론서로서의 성격뿐만 아니라 현대시의 전개를 어디까지나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평론집으로서 그 가치를 더한다.
활발한 비평 활동과 함께 후진 양성에 애써온 현역 문학평론가 김인환의 시 연구 사십 년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이번 평론집은 현대시 백 년사를 수놓은 보석과도 같은 작품과 시인들을 한자리에서 일별함으로써 현대시의 과거와 오늘을 정리해봄과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현대시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어 뜻깊다.
1부에서는 이병기, 이은상 시조의 율격을 분석함으로써 시조로부터 분리되어 현대시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피고, 운율과 비유라는 현대시의 원리를 톺아본다. 한용운의 시를 바탕으로 문학과 사상의 관계를 살피며 주제와 변주를 논한다. 또한 이육사의 시를 통해 음악과 시를 설명하고, 화법과 서술이라는 관점에서 현대시의 면면을 살펴본다. 2부에서는 김소월과 이상을 현대시의 계보로 설정하고 이들로부터 뿌리내린 현대시의 단계를 서정주, 김수영, 김춘수의 작품을 통해 세세히 분석했다. 3부에서는 다양한 양상이 혼재하는 현대시의 현장을 탐구했다. 김영태, 문정희, 황지우, 김민정의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시의 다채로운 빛깔을 조망했다.
Contents
머리말
1부 현대시의 원리
-시조와 현대시
-주제와 변주
-음악과 시
-소설과 시
2부 현대시의 단계
-소월의 여정
-서정주의 초월의식
-김수영의 현실주의
-김춘수의 형식주의
3부 현대시의 현장
-김영태의 현대적 서정
-문정희의 서정적 순례
-황지우의 전위적 실천
-김민정의 전위적 공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