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적 상상력과 녹색 수사학

$37.42
SKU
978897273402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03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72734024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칼 세이건이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이라고 불렀던 지구가 더욱 창백해지고 있다. 봄이 와도 봄이 아닌 경우가 많다. 기후 변화 탓이다. 그야말로 악화일로에 놓인 엄연한 현실을 직시하고 숙고해야 하는 상황이다. 세계적인 기후 위기 문제로 온갖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많은 생물종이 임계점에 임박한 상태에서 고통받고 기후난민으로 전락할 처지이다. 그런 까닭에 ‘여섯 번째 대멸종’ 담론까지 넘쳐난다. 이 책은 이런 상황에 대한 인문학적 대응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창백한 푸른 점’이 우리에게 전송되던(1990년 2월 14일) 무렵을 전후한 시기부터 2020년대까지 한국문학이 ‘적색’의 지구 환경에 도전하면서 펼친 생태학적 상상력을 ‘녹색’ 수사학으로 풀어보고자 했다. 『생태학적 상상력과 녹색 수사학』은 프롤로그와 본론 3부 14장 및 에필로그로 구성된다.
Contents
책머리에
프롤로그: 지속 가능한 희망과 생태학적 상상력
1. 지속 가능한 삶, 지속 가능한 희망
2. 심층 생태학과 생태 비평
3. 생태 윤리와 녹색 수사학

1부 생태 위기와 생태 윤리


1장 생태 위기와 생태 서사
1. ‘침묵의 봄’에서 ‘절멸’로
2. “우리는 이미 많은 것을 죽였다”
3. 세계 최대 공해 실험장 vs 풀꽃나라
4. 역병의 시대, 와해된 사람들, 리셋?
5. 대전환에의 의지, 다른 일상으로
2장 하나뿐인 지구에서의 생태 윤리와 그 적들
1. 근본적이면서 구체적인 생태 환경 문제
2. 생태 환경 문제에 대한 서사적 대응: 황순원에서 최성각까지
3. 복합오염과 총람적 생태소설: 우한용의 『생명의 노래』
4. 심층의 지렁이와 생태 윤리
3장 생태학적 무의식과 생태 윤리: 이청준
1. 생태학적 무의식으로 열린 길
2. 밤 산길 독행자의 생태학적 무의식
3. ‘감싸안기’의 생태 윤리
4. ‘기다리기’의 생태 윤리
5. ‘묻어두기’의 생태 윤리
6. 생태윤리와 승화된 말의 꿈
4장 섭생의 정치경제와 생태 윤리
1. 먹고사는 문제의 정치경제학과 생태학
2. 굶주린 혼의 허기와 사랑의 결핍: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3. 대립적 세계관과 사랑의 윤리: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4. 채식주의 신체와 식물성의 윤리: 한강의 『채식주의자』
5. 섭생의 생태 윤리
5장 ‘쓰레기-치유’를 위한 생태 윤리
1. 생산 문명의 어두운 그림자
2. 현대 문명의 폐해와 욕망의 조절
3. 병든 쓰레기와 치유의 상상력
4. 공경의 윤리와 순환-상생의 가능성
5. 쓰레기-치유를 위하여

2부 반생태시대의 생태시학


6장 생태학적 동일성에 대한 시적 몽상
7장 문명 비판과 환멸의 생태시학: 최승호
1. 무뇌아, 그 공장지대의 그로테스크
2. 세속도시에서의 문명 비판
3. 환멸의 시학과 그 역설
8장 생명의 연대와 만공(滿空)의 생태시학: 김지하
1. 타는 목마름에서 생명의 바다로
2. 생명의 연대와 우주목(宇宙木)의 새싹
3. 연민의 비장미
9장 가이아 명상과 황홀경의 생태시학: 정현종
1. 교감의 문법과 생명의 구경(究竟) 탐색
2. 우주혼의 둥근 기억과 생명의 황홀경
3. 신바람의 해학미
10장 오랑우탄-시인과 야생의 기억: 최계선
1. 롱고롱고 숲과 자연의 순례자
2. 오랑우탄의 구름책
3. 열매 행성을 위한 롱고롱고 시

3부 ‘푸른 광장’과 녹색 수사학


11장 포괄의 언어와 복합성의 생태학―이문구의 『관촌수필』
1. 생태 언어와 생태 서사
2. 포괄의 언어와 복합성의 수사학
3. 융섭(融攝)의 감각과 복합성의 생태학
4. 포괄의 생태 언어와 그 생명성
12장 슬픔의 사회생태학과 신명의 미학성: 신경림
1. 변두리 정서와 스타일의 주류화
2. 범속한 삶과 비범한 서정적 울림
3. 이야기와 민요 가락의 어울림
4. 역설적 발견과 사회생태학적 상상력
13장 유기적 순환과 무위(無爲)의 이삭: 이상인
1. 일만년 곶자왈과 오로라의 춤
2. 이동의 상상력과 천지공(天地空)의 화엄
3. 유기적 상호작용과 무위의 이삭
14장 ‘푸른 광장’을 응시하는 녹색 수사학
1. 분단 환경과 경계선의 생태론
2. 냉전시대 비판과 푸른 광장 탐문: 최인훈의 『광장』
3. 탈냉전 시대에 냉전의 비극적 조건 재성찰하기: 박상연의 『DMZ』
4. 디지털 시대의 현실과 가상현실 사이의 경계: 강희진의 『유령』
5. ‘푸른 광장’의 녹색 수사학

에필로그
1. 대전환의 상상력
2. 지속 가능한 희망을 위한 녹색 수사학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우찬제
서강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문학비평가.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애도의 심연』(2018), 『나무의 수사학』(2018), 『불안의 수사학』(2012), 『프로테우스의 탈주-접속시대의 상상력』(2010), 『고독한 공생』(2003), 『타자의 목소리』(1996), 『상처와 상징』(1994), 『욕망의 시학』(1993) 등을 썼고, 대산문학상, 팔봉비평상, 김환태평론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등을 수상 했다. 최근엔 영랑호와 설악산을 오가며, 기후 침묵의 기억을 환기하고, 기후 행동을 위한 생태학적 지혜와 상상력을 탐문하는 환경인문학을 모색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문학비평가.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애도의 심연』(2018), 『나무의 수사학』(2018), 『불안의 수사학』(2012), 『프로테우스의 탈주-접속시대의 상상력』(2010), 『고독한 공생』(2003), 『타자의 목소리』(1996), 『상처와 상징』(1994), 『욕망의 시학』(1993) 등을 썼고, 대산문학상, 팔봉비평상, 김환태평론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등을 수상 했다. 최근엔 영랑호와 설악산을 오가며, 기후 침묵의 기억을 환기하고, 기후 행동을 위한 생태학적 지혜와 상상력을 탐문하는 환경인문학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