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과 중소분쟁

북한 자주외교의 기원과 형성(1953∼1966)
$34.02
SKU
978897273355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9/10
ISBN 9788972733553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북방삼각관계 발전 속에서 자주로선의 형성과정을 고찰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하다. 첫째, 냉전이 종식된 현재까지도 자주로선이 북한의 기본적인 외교정책으로써 견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높다. 북한은 내적 자원이 부족하고 경제 및 군사적 역량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국가이기 때문에 중국·소련과 동맹을 결성함으로써 외부의 위협에 대처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1960년대 중반 대중·소 중립외교를 뛰어넘어 동맹들로부터 자주를 공식 선언했다. 대다수의 비대칭동맹이 약소국의 필요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약소국이 동맹국들로부터의 독자적 입장을 강조하는 자주로선을 주장했다는 사실은 분명 눈길을 끈다. 자주로선의 주장은 자칫 방기(abandonment)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모험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그동안 탈냉전기 동북아 동맹관계의 연구는 주로 한국·미국·일본의 남방삼각관계의 갈등 및 변화에 치우쳐 지역내 또 다른 주요 동맹인 북방삼각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이 부족하였다. 북한의 사회주의 동맹관계 연구에 있어서 중국과 소련과의 협력관계와 갈등들은 북한의 존립과도 연결되므로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그동안 북방삼각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북방삼국 사이에 내재한 갈등의 동학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거나, 주로 북·중, 조·소, 중·소 등 양자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냉전시기 북한이 중·소 양국의 지원 없이는 체제유지나 안정을 도모할 수 없을 정도로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북방삼각관계의 유기적 관계를 그려온 연구는 한정적이었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쓰였다.
Contents
제1장 서 론
제2장 전후 북방삼각관계와 주체의 등장
제3장 중소대립의 시작과 자주외교의 모색: 1957~1961
제4장 중소분쟁과 ‘자주로선’의 정립: 1962~1966
제5장 주체의 등장에서 ‘자주로선’의 확립까지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찾아보기
Author
김보미
미국 미시건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를 졸업한 후,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사,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부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북한의 핵전력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민군관계와 대한민국 육군』(공저),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공저),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미래』(공저), 『21세기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 평화』(공저) 등이 있으며, 학술논문으로는 「북한 핵프로그램의 시작과 성장」, 「김정은 정권의 핵무력 고도화의 원인과 한계」, 「북한의 핵전력 지휘통제체계와 핵안정성」, 「북한의 핵선제불사용 선언의 배경과 의미」 등이 있다.
미국 미시건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를 졸업한 후,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사,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부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북한의 핵전력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민군관계와 대한민국 육군』(공저), 『북한학의 새로운 시각』(공저),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미래』(공저), 『21세기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 평화』(공저) 등이 있으며, 학술논문으로는 「북한 핵프로그램의 시작과 성장」, 「김정은 정권의 핵무력 고도화의 원인과 한계」, 「북한의 핵전력 지휘통제체계와 핵안정성」, 「북한의 핵선제불사용 선언의 배경과 의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