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과연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 철학자는 어떤 종류의 인간인가? 철학은 한없이 넓고 참으로 깊고 또 너무도 오래된 학문이어서 그것을 정의하기는 누구에게도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새삼스럽게 이 문제를 논하고 철학자를 자주 언급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대답은 간단하다. 과학기술이 시대를 풍미하여 컴퓨터가 신을 대신해서 전능을 자랑하고 사람들은 쾌락의 광장으로 미친 듯 마구 달려만 가는데 여전히 인간은 불안하고 외롭기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우리는 철학을 외면하고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 더구나 경제적 후진성의 탈피에 급급하여 인간성이 마멸되고 양심이 땅에 떨어진 낙엽처럼 굴러다니는 양단된 조국의 거리를 헤매면서 어떻게 우리는 철학자의 가르침을 목말라 하지 않을 도리가 있을 것인가.
Contents
책머리에
1부회상과 추억
제1장 서강의 언덕에서
1. 다이몬과의 추억
2. ‘서강타임스’ 시절
3. 서강혼에의 의지
4. 단 한 번의 만남
5. 자아에의 의지: 분석과 신비
제2장 일상의 길목
1. 영국에서 온 편지
2. 준서와 함께
3. 본다는 것
4. 선악을 넘어서
5. 미루와의 약속
제3장 철학과 현실 사이
1. 철학의 사명
2. 예술로서의 교육
3. 폭풍 치는 언덕 - 세계 철학자 대회 유치 -
4. 철학의 쇄신 - 세계 철학자 대회 서울 개최와 그 의미 -
5. 분단의 시대와 민족적 자아 - 광복 70년을 맞이하며 -
6. 철학의 현실화, 현실의 철학화
제4장 문명과 생명
1. ‘생명다양성 재단’에 참여하며
2. 생명다양성의 윤리학
3. 생명의 신비
4. 탄소의 문화철학
제5장 철학기행
1. 어느 철학자의 초상
2. 그 강한 빛과 그늘의 땅 - 스페인 철학기행 -
3. 세계시민의 철학을 위하여 - 이란 철학기행 -
2부성찰과 숙고
1.돈의 가치론
2. 웃음의 미학
3. 무지의 인식론
4. 생명의 문화철학
5. 반성되지 않은 삶
6. 소통의 언어철학
7. 합리성의 행방
8. 죽음의 현상학
9. 리듬의 존재론
10. 기술의 진화론
11. 거짓말의 도덕철학
12. 상징의 개념
13. 사랑의 본질
3부현상과 현실
1. 민족통일의 정치철학
2. 한류의 문화철학
3. 양극화의 사회철학
4. 과학기술과 과학정책, 그리고 과학정신
5.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Author
엄정식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철학과와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졸업했으며, 국제 로타리 장학생으로 도미해 웨인 주립대학교 인문학 석사학위와 미시간 주립대학교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아메리카학회 회장, 분석철학회 회장, 철학연구회 회장, 서강대학교 대학원장, 하버드대학교 철학과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문진포럼 기획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지혜의 윤리학』 『비트겐슈타인과 분석철학』 『확실성의 추구』 『분석과 신비』 『철학으로 가는 길』 『자아와 자유』 『비트겐슈타인의 사상』 『철학기행 : 우리는 누구인가』 『당진일기』 『길을 묻는 철학자』 『나루터 가는 길』 등이 있다.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철학과와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졸업했으며, 국제 로타리 장학생으로 도미해 웨인 주립대학교 인문학 석사학위와 미시간 주립대학교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아메리카학회 회장, 분석철학회 회장, 철학연구회 회장, 서강대학교 대학원장, 하버드대학교 철학과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문진포럼 기획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지혜의 윤리학』 『비트겐슈타인과 분석철학』 『확실성의 추구』 『분석과 신비』 『철학으로 가는 길』 『자아와 자유』 『비트겐슈타인의 사상』 『철학기행 : 우리는 누구인가』 『당진일기』 『길을 묻는 철학자』 『나루터 가는 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