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석헌과 이성의 해방

$26.08
SKU
978897273318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0/2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273318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함석헌의 철학과 사상은 한국의 시대적 산물이다. 더욱이 그의 말법은 당대의 현실과 미래의 과제를 정확히 바라보게 하면서 이상세계를 지향하도록 만드는 관념론적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어떤 체제나 형식에도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무형식, 전체를 지향하지만 개인의 인격의 발전을 기대하는 생성적 주체철학의 성격,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독특한 철학과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프롤로그: 말해야 하는 것들의 아픔들

1부 궁극적 물음 실재의 탈자본화와 실존적 종교

1장 종교이성의 해방과 무사유의 탈피
1. 종교적 장소의 탈신화화
2. 그리스도인, 제3의 인종(trion genos)
3. 건강한 종교적 자아론: 그리스도교는 동무의 종교다!
4. 초월자의 자기비움, 그의 언표와 현상학

2장 종교의 생명존재론
1. 예수 사건: 산 자와 죽은 자, 그리고 현실과 관념의 공속성
2. 부활, 생의 의미의 영속적 발생
3.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통한 종교적 생명윤리 구축
4. 새로운 종교적 생명담론, 생명은 곧 깨달음이다!

3장 종교의 아나키즘적 사유
1. 복음의 상업화와 자본화를 넘어서 복음의 아나키즘을 향하여
2. 내적 삶의 구원과 종교적 발화의 진정성
3. 종교의 난맥상과 한계
4. 종교적 세계의 몽롱한 경지

4장 함석헌의 무교회주의와 아나키즘
1. 함석헌의 무교회주의 특성과 교회론
2. 무교회주의와 조직화된 종교 비판
3. 종교적 아나키즘의 관점에서 본 신앙의 자유
4. 단독자로서의 다중인 무교회주의자

2부 함석헌의 인간 현존재에 대한 해명

1장 몸 주체성과 실존적 인간
1. 몸-나의 발화적 진정성
2. 환상 너머 공백과 꽉 찬 무
3. 세계에 저항하는 정신
4. 가상(假象)의 생철학적 기적과 실존적 의미 서사

2장 새로운 인간학과 현존재의 인격 서술
1. 자기 본성의 개조
2. 혁명의 토대로서의 자기 개조와 인격철학
3. 현존재의 자기의식의 귀속성
4. 냉소적인 실존적 인간론

3장 인간 현존재의 인문학적 의식의 암호 해명
1. 새로운 인간, 새로운 의식
2. 인문적 인간, 문답하는 인간
3. 개인의 인식과 자유, 그리고 의식의 혁명

4장 함석헌의 존재론적 인간 이해
1. 정치적 인간과 그 근본 기분으로서의 권태
2. 역사적 실존인 민중의 근본 기분으로서의 서러움과 초탈
3. 인간 실존의 유한성과 뜻을 떠맡은 역사적 실존
4. 인간의 실존적 상황과 과학기술문명 비판

5장 자본적 사유의 극복과 사유 가능성으로서의 인간
1. 희생양 메커니즘과 정의(正義) 사유(思惟)
2. 욕망 주체의 욕망, 그리고 정치적 정의(正義)와 봉사
3. 자본을 넘어 정신세계로의 상승과 이성의 시대
4. 남의 생각이 아니라 내 생각으로의 세계국가주의적 존재론

3부 물화된 생활세계 지평의 초탈

1장 민중의 철학적 의식과 비폭력적 미학
1. 민중, 씨?철학을 가진 자
2. 민중의 정치철학과 역사철학
3. 비폭력의 철학과 정치미학

2장 함석헌의 사회철학적 사유의 명법
1. 상호주관적 도덕 공동체의 시대적 참뜻-말-알
2. 민중 전체의 생각, 지금은 혁명 중
3. 혁명을 깨달은 자들의 노성(怒聲)

3장 정신 토대론에 입각한 기술전체주의 비판
1. 진정한 혁명 전사, 새 정신의 혁명
2. 함석헌의 초월론적 인간론
3. 생태적 존재론과 정치적 기술이기주의 비판

4장 민족통일을 위한 객관적 실존인식과 실천범주의 해석
1. 민족통일을 위한 정신적 진보와 과제 인식
2. 민족통일의 주체의식과 평화통일을 위한 조건
3. 민족통일의 인식과 상호인정주의

5장 함석헌의 여성인식과 미의식
1. 함석헌의 여성관과 미적 이념
2. 우주와 종교미학적 지평 안에서의 여성인식
3. 여성의 심성의 미학과 보편적 인간의 아름다움

에필로그: 후련한 앙금들, 잔여의 숙제들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대식
김대식은 1967년 강원도 양구에서 태어났다. 종교학과 철학으로 각각 박사학위를 받은 후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서울신학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등에서 시간강사를 역임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숭실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등에 출강하면서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종교연합(URI-Korea) 지도위원, 함석헌평화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했다. 현재 함석헌평화연구소 부소장, (사)기독교미래교육연구소 부소장, 함석헌기념사업회 (부설) 씨알사상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생태영성의 이해』, 『함석헌의 평화론』, 『함석헌의 생철학적 징후들』, 『예수와 신앙 언어』, 『함석헌과 이성의 해방』, 『그리스도교 감성학』, 『켜켜이 쌓인 시간을 풀어주는 사람』 , 『치명적 자유의 향연: 아나키즘과 함석헌』(공저) 등이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아나키즘을 기반으로 한 함석헌의 철학과 사상,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회주의 해석, 현상학적 인식론과 존재론, 환경철학과 정치미학, 해체구성적 종교이다.
김대식은 1967년 강원도 양구에서 태어났다. 종교학과 철학으로 각각 박사학위를 받은 후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서울신학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등에서 시간강사를 역임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숭실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등에 출강하면서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종교연합(URI-Korea) 지도위원, 함석헌평화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했다. 현재 함석헌평화연구소 부소장, (사)기독교미래교육연구소 부소장, 함석헌기념사업회 (부설) 씨알사상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생태영성의 이해』, 『함석헌의 평화론』, 『함석헌의 생철학적 징후들』, 『예수와 신앙 언어』, 『함석헌과 이성의 해방』, 『그리스도교 감성학』, 『켜켜이 쌓인 시간을 풀어주는 사람』 , 『치명적 자유의 향연: 아나키즘과 함석헌』(공저) 등이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아나키즘을 기반으로 한 함석헌의 철학과 사상,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회주의 해석, 현상학적 인식론과 존재론, 환경철학과 정치미학, 해체구성적 종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