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지방자치법 미완의 규정
1. 주민자치회 관련 규정 삭제
2. 광역자치단체의 조직권 확대 무산
3. 지방자치법상의 자치경찰 사무 미규정
4. 기관구성의 다양화 후속법률 미완
5. 일괄이양법의 변형
Ⅲ. 자치경찰의 모형 전환
1. 1원화 모형으로의 변경
2. 자치경찰 소관기관의 미비·
Ⅳ. 목표 직전의 재정분권
Ⅴ. 지방선거제도 미비와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아쉬움
7장 자치분권의 향후 과제
Ⅰ. 자치분권의 모형
1. 자치분권 모형별 현황
2. 우리나라의 특례제도
3. 향후 활용할 자치분권 모형
Ⅱ. 자치권의 강화
1. 자치입법권의 강화
2. 자치조직권의 강화
3. 자치재정권의 강화
4. 주민자치의 강화
5. 자치경찰의 강화
6. 자치교육의 강화
7. 정당공천배제
Ⅲ. 자치분권형 헌법개정
1. 자치분권국가의 선언
2. 지방자치의 본질에 대한 규정
3. 지방정부를 지방의 통치주체로 인정
4. 지방정부의 종류
5. 지방정부 형태(기관구성)에 관한 규정
6.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관계 명확화
7. 주민주권과 주민참여
8. 지방정부의 중앙정부에의 정책결정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