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지역사회 (하)

식민 분단 전쟁기 전남 지역의 사회사
$36.29
SKU
978897218779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31
Pages/Weight/Size 152*225*23mm
ISBN 978897218779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식민·해방·분단·전쟁기 전남의 영광·강진·능주의 지역사회 변동을 다룬 것이다. 이 시기는 한국인들이 식민지화, 해방, 남북분단, 그리고 남북 간의 전쟁을 겪어야만 했던 시기로, 지역사회에서는 혼란이 거듭되던 시기였다. 특히 해방 이후 한국전쟁기까지가 그러했다. 지역사회에서 이 시대를 살아간 이들은 어느 쪽이 옳은지,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 것인지 곤혹스러울 때가 많았다. 수시로 세상이 뒤집어지는 것을 보면서 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판단하기란 매우 어려웠다. 이 책의 주제는 이와 같은 ‘혼돈의 시대’인 식민·해방·분단·전쟁기 전남의 영광, 강진, 능주의 지역사회가 어떠한 변동을 보였는가 하는 것이다.
Contents
서문

3부 식민·해방·분단·전쟁과 영광 지역사회

제7장 식민지기 영광의 지역사회와 민족·사회운동
1. 서론
2. 영광군의 사회·경제와 지역유력자
3. 영광군의 교육·문화운동
4. 영광군의 민족·사회운동
5. 영광군 민족·사회운동의 주체
6. 소결

제8장 해방·분단·전쟁기 혼돈의 영광 지역사회
1. 서론
2. 해방·분단기의 영광 지역사회와 좌우갈등
3. 한국전쟁기 인민군의 영광 점령과 ‘영광대학살’
4. 전쟁 이후 영광 지역사회의 변화
5. 소결

4부 식민·해방·분단·전쟁과 강진·능주 지역사회

제9장 식민지기 강진의 지역사회와 민족·사회운동
1. 서론
2. 식민지기 강진의 사회·경제적 변동과 지역유력자
3. 식민지기 강진의 민족운동
4. 식민지기 강진의 사회운동
5. 소결

제10장 해방·분단·전쟁기 혼돈의 강진 지역사회
1. 서론
2. 강진의 건준과 인민위원회
3. 미군의 강진 진주와 군정의 실시
4. 강진의 좌우 정치세력과 5·10선거
5. 정부수립 전후 좌익 무장대의 출몰
6. 한국전쟁기의 강진
7. 전쟁 이후 강진의 지역유력자층
8. 소결

[?보론?] 식민지기 능주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서론
2. 식민지기 능주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조건
3. 한말 일제초기의 민족운동
4. 1920년대 능주의 청년운동
5. 1920년대 능주의 노농운동
6. 1920년대 능주 민족·사회운동의 주체
7. 소결

참고문헌
인명 색인
Author
박찬승
한양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목포대학교와 충남대학교를 거쳐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비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한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 『민족주의의 시대』, 『민족, 민족주의』, 『마을로 간 한국전쟁』, 『언론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시리즈),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 『1919?: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 등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단재상, 임종국상 등을 수상하였다.
한양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목포대학교와 충남대학교를 거쳐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비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한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 『민족주의의 시대』, 『민족, 민족주의』, 『마을로 간 한국전쟁』, 『언론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시리즈),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 『1919?: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 등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단재상, 임종국상 등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