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라고 하면 대개 ‘사람은 본래 악한 존재다’라는 내용의 성악설을 떠올리곤 하지만, 그 이상은 우리 대부분에게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춘추전국이라는 격동기를 숨가쁘게 살아가던 제자백가의 한 사람이자 그 누구보다 현실적인 사유로 후대 중국 정치사와 사상사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이면서도 공자나 맹자에 비해서는 항상 저평가되어 온 순자. 그는 누구이며, ‘성악설’로 대표되는 그 사상의 실체는 무엇이었을까? 유가였으면서도 유가의 한계를 벗어나 다른 색깔의 논의를 펼쳤던 그의 사상적 위치를 당시 역사 상황을 배경으로 새로이 비추어 본다.
Contents
추천의 말
지은이의 말
제1장 순자의 생애와 그 시대
1. 격동과 전조 ― 전국시대 말기의 사회
‘천하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 읍국가와 ‘봉건’제 | 읍국가에서 영역국가로 | 격렬한 사회변동 | 사 | 객 | 제자의 등장 | 권력자와 사상가 | 제자란 무엇이었나? | 통일을 향한 발걸음 | 진한 제국 | 거대한 전환기
2. 전국시대 최후의 유가 ― 순자의 생애
난세에 태어나 | 성명과 생년 | 태어난 나라와 연고지 | 진나라로 | 유가의 효용에 대한 선전 | 제나라에서 | 세와 도 | 난릉령 시절 | ‘아름다운 구슬이 있어도’ | 병을 논하다 | 두 제자 | 만년과 죽음 | 『순자』라는 책 | 문체 속 순자 | 전국시대 최후의 유가
제2장 순자의 사상 활동
1. 천과 인 ― 자연과 인간
천인지분 | 자연으로서의 ‘하늘’ | 인간·사회·자연 | 종교적 ‘하늘’과의 결별 | 천인과 성위 | 인간의 위치 | 공자·맹자에서 순자로 | 장자에서 순자로 | 기술과 자연관 | 주술과 이성 | 꾸밈 | 환각의 배격 | 빛을 발하는 자연관
2. 인성은 악이다 ― 인간관의 구조
인성 문제 | 변화하는 삶의 양식 | 정치의식과 인간론 | 성설의 출현 | 맹자의 성선설 | 장자의 인간관 | 성악과 선위 | 물질적 인간 이해 | 상대적인 선과 악 | ‘심’의 문제 | 성―심―위 | 맹자와의 거리, 장자와의 거리 | 현실에 대한 대답
3. 예의 왕국 ― 국가 구상
왕자의 공명 | 유가의 정치적 태도 | 순자의 과제 | 성과 예 | 군과 분 | 예의 정치적 기능 | 예를 만든 선왕 | 정치는 작위 | 정책에 관하여 | 형과 법 | 유 개념 | 군주란 무엇인가? | 예 왕국의 구상 | 대답과 허구
4. 욕망과 생산과 정치 ― 경제사상
「화식열전」으로 보는 배경 | 생산에 대하여 | 절약론과 과욕론 | 원초적 아나키즘 | 자연과 생산과 정치 | 종
O의 분업론 | 횡의 분업론 | 아래가 부유하면 위도 부유하다 | 경제사상과 인간관 | 욕망과 예 | 소비의 질서 | 독특한 경제사상
5. ‘명’의 영역 ― 언어와 국가
명 바로잡기 | 명실과 술 | 명가의 설 | 명과 로고스 | 묵가의 명실론 | 명의 제정 | 명의 세 가지 원리 | 수직적 세계상 | 명과 분 | 명실론과 정치 이념 | 고대 명실론의 집약 | 언어와 국가
6. 역사를 보는 눈 ― 역사와 자기규정
역사 사상 | 역사의식의 맹아 | ‘주나라를 계승한 자’ | 맹자의 일치일란론 | 역사의 시작 찾기 | 얽매이지 않는 눈 | 선왕과 백왕 | 후왕이란 무엇인가? | 패에 관하여 | 역사관의 다양화 속에서 |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 역사 속의 자기규정
제3장 사상사 속의 순자
1. 이념과 현실 사이 ― 숙명적 허구
궤시 | 근원적 과제 | 이념과 현실 그리고 허구 | 자연관과 권력에 대한 관심 | 다시 ‘심’ 문제로 | 주체성과 관념성 | 숙명적 허구 | 심의 사상적 계보 | 유물론적 특징 |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 「권학」과 「수신」 | 유세가의 자각 | 사와 군 | 권력으로 기울다 | 전국시대 유가의 극한 | 「비십이자」
2. 제자 시대의 종말 ― 순자에서 포스트 순자로
한비와 이사 | 순자 사상이 향한 한 가지 길 | 유가의 운명 | 순자 이후의 순자 학파 | 후계자들의 궤적 | 순자 사상이 향한 또 하나의 길 | 제자들의 퇴장 | 정통으로서의 유교 | 새로운 허구 | 「육가요지」와 『회남자』 「요략」 | 제자들의 묘표 | 역사의 역설 | 집약자이자 종결자 |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