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장성군 출신으로 6선(제6, 7, 8, 14, 15, 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가난한 농촌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부모를 여의고 신문 배달과 껌팔이 등으로 동생들을 보살피며 야간학교를 졸업했다. 일찍이 정치를 꿈꾸어 웅변 연습 등에 매진하던 중 청년 김대중을 만나 평생의 동지가 되었다. 1965년, 서울 서대문갑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제6대 국회에 입성한 후, 김대중 의원의 핵심참모로 1970년 김대중을 야당의 대통령 후보로 만들었다. 비록 김대중이 간발의 차이로 박정희에게 패배했으나, 이후의 역사는 김대중을 세계적 인물, 민족의 지도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니, 이는 김상현의 기민한 전략과 직관이 큰 역할을 했다.
김대중과 김상현은 1972년 박정희의 '10월 유신'과 1980년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감옥에 가고, 국외로 망명하고, 장기간 자택에 연금되어 피선거권을 박탈당하는 등 두 사람 모두 오래도록 야인 생활을 해야 했다. 1983년, 김상현은 미국에 체류 중인 김대중을 대신하여 김영삼을 설득, 민주화추진협의회를 조직하고, 1984년 선명 야당 신민당을 창당하여 2.12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1987년 6월항쟁의 승리는 제도권 야당의 재야의 투쟁에 합류한 것이 결정적이었으니, 민추협 출범, 선명 야당 창당과 총선 승리, 6월 민주항쟁의 승리 모두 김상현의 직관에 크게 힘입었다.
Contents
후농 김상현 평전을 발간하며-4
프롤로그-16
01_ 어린 시절
고향 마을 32 ㆍ어린 시절 36 ㆍ서울 유학 38 ㆍ한국전쟁의 발발 39
어머니 42 ㆍ야만의 시대 46 ㆍ소년 가장 49
부산행 - 기억과 흔적을 지우다 51 ㆍ다시 서울로 - 김상현적 삶을 시작하다 54
02_ 정치를 꿈꾸다
정치를 만나다 60 ㆍ아남민국 모의국회 64 ㆍ김대중을 만나다 67
삼일청년학생동지회 70 ㆍ4월혁명 74 ㆍ현역군인이 맡은 학생대표 78
03_ 결혼 : 평생 동지를 만나다
부잣집 딸과 가난뱅이 청년 82 ㆍ친구가 아니라 당신이오! 85
현대판 '서동요' 작전 88 ㆍ처음부터 경제문제는 아내 몫 91
04_ 국회 입성
가까이 간 정치의 꿈 96 ㆍ정치는 사람 장사 98 ㆍ도둑 같이 온 기회 100
보궐선거 공천을 따내다 103 ㆍ흙수저 친구들의 의리 105
좌충우돌 선거운동 109 ㆍ'프로' 엄창록의 활약 112 ㆍ국회 입성 115
05_ 당찬 초선의원
준비 안 된 의정활동 118 ㆍ경향신문 강탈 공작 폭로 120 ㆍ비례대표로 재선 124
해외교포문제연구소 127 ㆍ6·8부정선거 131 ㆍ박정희를 만나다 133
삼선개헌 138 ㆍ김형욱 중앙정보부장과의 맞짱 141
06_ '김대중 대통령' 만들기
40대 기수론 144 ㆍ유진산의 김영삼 지지 146 ㆍ신출귀몰의 조직 가동 150
극적인 대역전승 153 ㆍ김영삼의 탄식 159 ㆍ제7대 대통령 선거전 161
김대중 바람 164 ㆍ지역주의의 등장 166 ㆍ김대중, 선거에서 이기고 개표에서 지다 168
07_ 3선 중진의원 : 더 넓은 정치의 바다로
'사쿠라 야당'의 환골탈태 172 ㆍ김대중을 향한 헌신 174
『다리』지 창간 177 ㆍ『다리』지 필화사건 182 ㆍ'으악새' 클럽 186
서승·서준식 형제 간첩 조작사건 188 ㆍ진산 파동 190
이순자도 도운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2 ㆍ김대중의 당권 도전 실패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