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중세어의 하향이중모음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어-가나를 비롯한 한국어와 다양한 언어의 전사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또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에서 전설중모음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동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음 변화에도 범언어적인 경향과 유사한 음성적인 동인이 작용하였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그러한 변화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느 환경에서부터 일어났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Contents
1장.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사
1.3. 논의 구성
2장. 연구 방법과 자료
2.1. 연구 방법
2.2. 전사 자료의 특성
2.2.1. 전사 자료의 정의와 분류
2.2.2. 전사 자료의 현실성
2.2.3. 전사 자료의 지역성
2.3. 일본어 전사 자료
2.3.1. 학습서류
2.3.2. 일본 체류 기록
2.4. 한국어 전사 자료
2.4.1. 학습서류
2.4.2. 견문록류
2.5. 기타 외국어 전사 자료
3장. 일본어 - 한글 전사를 통해 본 모음의 변화
3.1. 일본어 전사 자료의 중요성
3.2. 일본어 /e/의 음가
3.3. 일본어 /e/의 전사 양상과 모음의 변화
3.3.1. 15?16세기 자료
3.3.1.1. 日本行錄 ? 海東諸國紀: ㅕ~ㅖ
3.3.1.2. 伊路波: ㅕ~ㅖ
3.3.2. 17·18세기 자료
3.3.2.1. 捷解新語: ㅕ~ㅖ 〉 ㅖ
3.3.2.2. 方言類釋: ㅕ~ㅖ
3.3.2.3. 倭語類解: ㅖ~ㅔ
3.3.2.4. 일본 체류 기록
3.3.3. 19·20세기 자료: ㅔ~ㅖ
3.4. 정리
5.1. 전설모음 형성의 과정
5.1.1. 15세기의 상황
5.1.2. 후설화와 전설화의 상호작용
5.1.3. 전설화의 점진적 확산
5.1.4. 모음 체계의 격변
5.2. 전설모음 형성의 동인
5.2.1. 체계적 동인
5.2.2. 음성적 동인
5.2.3. 범언어적 경향
5.3. 모음 체계 변화에 대한 관견
5.3.1. 만주퉁구스 제어의 전설모음 형성
5.3.2. 한국어 모음 체계의 변화
6. 결론
6.1. 논의 요약
6.2. 남은 문제
[부록]
??資料を活用した韓?語音韻史の?究: 近世日韓の語?書を中心に
Author
허인영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2011)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14)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2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연구교수 역임
고려대학교, 경기대학교, 숭실대학교 강사 역임
현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2011)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14)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2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연구교수 역임
고려대학교, 경기대학교, 숭실대학교 강사 역임
현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